주식회사 피에이 웍스(영: P.A.WORKS Co.,Ltd.)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이다. 약칭은 "PA"이다. 상호는 가타카나이지만, 주로 "P.A.WORKS"라고 표기된다.
![]() | |
![]() 본사
|
|
종류 | 주식회사 |
---|---|
약칭 | PA |
본사 소재지 |
![]() 〒939-1835 도야마현 난토시 다테노하라히가시 1508번지 8[1] 북위 36도 30분 7.3초 동경 136도 52분 21.5초 / 북위 36.502028도 동경 136.872639도좌표: 북위 36도 30분 7.3초 동경 136도 52분 21.5초 / 북위 36.502028도 동경 136.872639도 |
설립 | 2000년 11월 10일[1] |
업종 | 정보・통신업 |
법인 번호 | 7230001009184 |
사업 내용 | 영상 제작[1] |
대표자 | 대표 이사 호리카와 겐지[1] |
자본금 | 1,000만 엔[1] |
종업원 수 | 98명 (2017년 4월 시점) |
관련 인물 | #관련 인물 참조 |
외부 링크 |
www |
다쓰노코 프로덕션 출신으로 프로덕션 I.G에서 프로듀서를 맡았던 호리카와 겐지가, 비 트레인[주 1]의 이사를 거쳐, 도야마현 히가시토나미군 조하나정 (현재: 난토시의 일부)에서 엣추 도가 혼포 주식회사를 2000년 11월 10일에 설립했다[2]. 2002년 1월 1일에 주식회사 P.A.WORKS로 상호를 변경했다[2][주 2]. P.A.WORKS는 "Progressive Animation Works"의 약자이다[4]. 「천수의 사쿠나히메」에서는 Parttime Agriculture Works라고 표현했다.
설립 경위는, 호리카와가 가족과의 약속으로 도야마에 돌아갈 때, 현지에 제작 회사를 찾아봐도 찾을 수 없어서, 스스로 스튜디오를 세웠다고 한다[5].
설립 시, 행정 측으로부터 사옥으로서 폐병원을 개축한 건물 「난토시 기업가 지원 센터」의 알선[6]이나 케이블 텔레비전을 이용한 브로드밴드 통신 환경 정비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복리후생의 일환으로서 애니메이터를 대상으로 기숙사를 정비하고 있다.
설립 후에는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의 무비 파트의 제작 외에,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서는 프로덕션 I.G나 본즈 제작 작품의 하청을 주로 했다. 2008년의 『true tears』가 첫 원청 제작 애니메이션이 되었다[2].
수도권 이외에 본거지를 두고 있으면서, 애니메이션의 원청 제작을 다루는 기업 중 하나이다. 또한, 중소기업청 주최의 ""작은 기업" 미래 회의"에 크리에이티브 산업의 핵심 멤버의 한 회사로서 참가하고 있다[7].
2016년, 회사 설립 15주년을 맞아, 도카이 호쿠리쿠 자동차도 조하나 서비스 에어리어에 인접하는 사쿠라가이케 하이웨이 오아시스 내의, 난토시가 제공하는 기업 유치 용지로 이전했다[8].
팬과의 교류의 일환으로서, 2012년부터, 그 시기에 방송되고 있는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일러스트가 프린트된 「연하장」 「봄 소식」 「더위 문안 편지」를 보내고 있다[9]. 2020년에는, 팬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목표로 한다며, 제작 과정의 공개나 스태프와 팬의 교류 등을 행하는 온라인 살롱 「P.A.SALON」을 개설했다[10]. P.A.SALON의 P.A는 "Playful Adventure"의 약자이다[11].
2018년 4월, 전자책 전문 레이블 「P.A.BOOKS」의 출범을 발표. 첫 작품으로서, 같은 해 5월에 『true tears』의 노벨라이즈판을 간행했다. 작품은 각 주요 전자책 사이트에서 구입할 수 있다[12]. 또한 같은 해에는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기 위한 「P.A. 양성소」를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13].
--- 5 관련 인물다쓰노코 프로덕션 출신으로 프로덕션 I.G에서 프로듀서를 지낸 호리카와 겐지가 비 트레인[주 1] 이사직을 거쳐 도야마현 히가시토나미군 조하나정(현재의 난토시 일부)에 2000년 11월 10일, 엣추 도가 혼포 주식회사를 설립했습니다.[2] 이후 2002년 1월 1일, 주식회사 P.A.WORKS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2][주 2] P.A.WORKS는 "Progressive Animation Works"의 약자이며, '천수의 사쿠나히메'에서는 Parttime Agriculture Works로 표현되기도 했습니다.
호리카와는 가족과의 약속으로 도야마에 돌아가려 했을 때, 현지에서 제작 회사를 찾을 수 없어 직접 스튜디오를 설립했다고 합니다.[5]
회사 설립 당시, 행정 기관으로부터 사옥으로 폐병원을 개조한 "난토시 기업가 지원 센터"를 알선받았으며,[6] 케이블 TV를 이용한 광대역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았습니다. 또한, 복리후생의 일환으로 애니메이터를 위한 기숙사도 마련했습니다.
설립 후에는 비디오 게임의 무비 파트 제작과 더불어, TV 애니메이션에서는 프로덕션 I.G나 본즈의 작품을 주로 하청 제작했습니다. 2008년에는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인 『true tears』를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2]
수도권 외 지역에 본사를 두고 애니메이션 원청 제작을 하는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이며, 중소기업청이 주최하는 "작은 기업 미래 회의"에 크리에이티브 산업 핵심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7]
2016년, 회사 설립 15주년을 기념하여 도카이 호쿠리쿠 고속도로 조하나 서비스 에어리어 인근의 사쿠라가이케 하이웨이 오아시스 내에 난토시가 제공하는 기업 유치 부지로 이전했습니다.[8]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2012년부터는 해당 시기에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일러스트가 담긴 "연하장", "봄 인사", "더위 문안 엽서"를 발송하고 있습니다.[9] 2020년에는 팬들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을 목표로 제작 과정 공개, 스태프와 팬 간의 교류 등을 위한 온라인 살롱 "P.A.SALON"을 개설했습니다.[10] P.A.SALON의 P.A는 "Playful Adventure"의 약자입니다.[11]
2018년 4월에는 전자책 전문 레이블 "P.A.BOOKS"의 런칭을 발표하고, 첫 작품으로 같은 해 5월에 『true tears』의 노벨라이즈 버전을 출간했습니다. 해당 작품은 주요 전자책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12] 또한, 같은 해에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P.A. 양성소"를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13]
2020년 11월에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지금까지 제작해 온 작품의 오프닝 곡과 엔딩 곡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P.A.WORKS 20th Anniversary Theme Song Collection』이 2021년 3월 17일에 란티스에서 발매되었다.[14][15]
2024년 1월 1일에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으로 도야마현에도 큰 흔들림이 있었지만, 다음 날 회사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도야마 본사에 큰 피해는 없었다고 보고되었다.[16]
2023년 기준, 도야마 본사 스튜디오와 도쿄 P-10 스튜디오(도쿄도 고다이라시 가쿠엔니시마치)의 2개 거점 체제이다.[1] 도야마 본사에서는 크리에이터(작화, 3DCG)가 활동하고 있으며, 연출 및 제작 부서의 일부가 활동하고 있다. 한편, 도쿄 P-10 스튜디오에서는 연출 및 제작 부서의 핵심 멤버가 활동하고 있다.[17]
연출 및 작화 부서는 연출 작업 외에 애니메이션 감독, 원화를 메인으로 하는 스태프가 소속되어 있다. 2021년 기준, 동사의 인재 확보 목표는 하나의 작품에서 연출과 작화의 7할을 사내에서 자체 제작하는 것이다. 이는 대표인 호리카와에 따르면 스케줄 관리와 퀄리티 관리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비율이라고 한다. 2021년 기준으로는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비율이 높은 작품의 경우에는 한 작품 전체 원화의 약 5할 정도가 소속 스태프에 의해 자체 제작되고 있다.[18]
반면 동화 공정에 관해서는 2018년 시점에서 동화 부서를 폐지한 영향으로 현재는 동화 검사를 담당하는 몇 명 정도의 동화맨만 소속되어 있다. 이는 신인 동화맨에 대한 급여 문제도 있었지만, 제작부의 스케줄 관리 능력 문제로 인해 사내 동화맨은 해외 하청 스튜디오에 외주한 동화의 리테이크 대응에 시간을 빼앗겨 자신들의 동화 작업을 할 시간을 확보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2018년에 동화 부서 폐지를 결정했다. 또한, 사내 원화맨이나 애니메이션 감독의 스케줄 관리 안정화를 우선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2021년 현재는 최종 공정까지 퀄리티를 유지하는 현장 체제를 갖추기 위해 장래적으로 동화 부서를 부활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18]
2020년 이후의 원청 작품에서는 동화 공정을 한국의 DR MOVIE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동화 공정 외에 마무리(채색) 공정의 일부 하청도 담당한다. 또한, 각 화 제작 협력으로서 화수 단위의 하청을 맡는 경우도 있으며, 애니메이션 감독, 원화, 동화, 마무리 공정을 DR MOVIE에서 일괄 담당하기도 한다.[주 3]
마무리(채색), 촬영, 배경 미술에 관해서는 사내에 부서를 두고 있지 않고, 외주 전문 스튜디오에 발주하고 있다.
모든 원청 작품에서 마무리는 스텔라 로드(스튜디오 로드), 촬영은 T2 studio가 담당하고 있다.
배경 미술은 많은 제작 작품에서 미술 스튜디오인 스튜디오 이스터[주 4]나 Bamboo[주 5], GREEN(스튜디오 나야)[주 6]가 담당하고 있으며, 영화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에서는 스튜디오 이스터와 Bamboo가 공동으로 미술 제작을 맡았다. 그 외, 공동 크래프트[주 7], 쿠사나기[주 8]가 배경 미술을 담당한 적도 있다.
미술 감독으로는 『Angel Beats!』 이후, 히가시지 가즈오를 기용하는 경우가 많다.[주 9] 히가시지가 제작 작품에 참여할 때에는 히가시지가 P.A.WORKS의 도쿄 스튜디오 내에 들어가 감독과 함께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입사광 등의 빛과 그림자 연출에 신경 쓰기 위해 외주하고 있는 촬영 작업에 관해서는 히가시지가 감독의 의향을 촬영 스태프에게 세세하게 전달하여 아름다운 배경 미술로 정평이 나 있는 P.A.WORKS 작품을 뒷받침하고 있다.[19]
이 절에는 독자 연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true tears』, 『TARI TARI』와 같은 청춘물, 『Angel Beats!』, 『Charlotte』와 같은 SF 요소가 있는 학원물 등, 여고생 등 젊은 히로인이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작품을 많이 제작하고 있다.
온천 여관에서 일하는 여고생을 주인공으로 한 『꽃이 피는 첫걸음』(2011년)에 이어, 『SHIROBAKO』(2014년)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에서 일하는 여성을 주역으로 내세운 것에서 "일하는 시리즈"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사쿠라 퀘스트』(2017년) 등을 거쳐 극장판 애니메이션 『코마다 위스키 패밀리』(2023년)로 5 작품에 이르렀다.[20]
초기작 『CANAAN』이나 당사 최초의 로봇 애니메이션 『크롬크로』 등, 하드 터치의 액션계 작품도 약간 제작하고 있다.
동사는 위의 작품을 포함하여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13], 『Another』, 『RDG 레드 데이터 걸』, 『유정천 가족』과 같은 (라이트 노벨을 제외한) 소설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이나, 『파티피플 공명』과 같은 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등, 원작이 있는 작품도 제작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당사 최초의 원작이 있는 애니메이션인 『Another』는 미스터리・호러 작가인 아야쓰지 유키토의 소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제작해 온 작품과는 완전히 다르게 호러・서스펜스 작품이었다.
동사 최초의, TV 시리즈의 극장 상영판이 아닌 애니메이션 영화로서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오카다 마리 첫 감독 작품)가 2018년에 공개되었다.
P.A.WORKS가 제작하는 작품에는, 실존하는 지역을 무대로 하거나, 무대의 모델로 전개되는 작품이 있다. 이러한 지역에 실존하는 것을 모델로 한 건물이나 거리가 작품에 등장하기 때문에, 팬들 중에는 성지 순례를 위해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도 많다. 각 작품의 무대에 대해서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을 참조. 또한 2023년부터는 호쿠리쿠 지방(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에 사는 어린이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름방학에 애니메이션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다. 이 워크숍은 실제로 작화 작업을 체험하는 등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을 배우는 것이다[21][13].
도야마현 내 지상파 방송국에서 방송된(또는 방송 예정인) 작품은 제목 셀의 배경색을 연두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시작 연도 | 방송 기간 | 제목 | 감독 | 시리즈 구성 | 라인 프로듀서 |
원작 | 레이블 | 무대 또는 그 모델이 된 시구정촌 |
비고 |
---|---|---|---|---|---|---|---|---|---|
2008년 | 1월 - 3월 | true tears | 니시무라 준지 | 오카다 마리 | 쓰지 미치히토 | 게임 | 반다이 비주얼 | 도야마현 난토시 | |
2009년 | 7월 - 9월 | CANAAN | 안도 마사히로 | 포니 캐년 | 상하이 | ||||
2010년 | 4월 - 6월 | Angel Beats! | 기시 세이지 | 마에다 준 | 오리지널 | 애니플렉스 | 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 | ||
2011년 | 4월 - 9월 | 꽃이 피는 첫걸음 | 안도 마사히로 | 오카다 마리 | 포니 캐년 | 이시카와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2012년 | 1월 - 3월 | Another | 미즈시마 츠토무 | 히가키 료 | 소마 쇼지 | 소설 | 가도카와 쇼텐 | 도야마현 난토시 | |
7월 - 9월 | TARI TARI | 하시모토 마사카즈 | 쓰지 미치히토 | 오리지널 | 포니 캐년 | 가나가와현후지사와시・가마쿠라시 | 가나가와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2013년 | 4월 - 6월 | RDG 레드 데이터 걸 | 시노하라 토시야 | 요코테 미치코 | 소마 쇼지 | 소설 | 가도카와 쇼텐 | 나라현요시노군도쓰카와촌 | |
7월 - 9월 | 유정천 가족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스가 쇼타로 | 반다이 비주얼 | 교토부교토시 | 교토부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10월 - 2014년 4월 | 잔잔한 내일로부터 | 시노하라 토시야 | 오카다 마리 | 쓰지 미치히토 | 오리지널 |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 | 미에현구마노시 | ||
2014년 | 7월 - 9월 | 글라스립 | 니시무라 준지 | 사토 리카 니시무라 준지 |
포니 캐년 | 후쿠이현사카이시 | 후쿠이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10월 - 2015년 3월 | SHIROBAKO | 미즈시마 츠토무 | 요코테 미치코 | 소마 쇼지 | 워너 브라더스 홈 엔터테인먼트 | 도쿄도무사시노시 | |||
2015년 | 7월 - 9월 | Charlotte | 아사이 요시유키 | 마에다 준 | 쓰지 미치히토 | 애니플렉스 | 도쿄도・가나가와현・시즈오카현 | ||
2016년 | 1월 - 3월 | 하루치카 ~하루타와 치카는 청춘한다~ |
하시모토 마사카즈 | 요시다 레이코 | 소설 | 가도카와 쇼텐 | 시즈오카현시즈오카시 | 시즈오카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4월 - 9월 | 구로무쿠로[22] | 오카무라 텐사이 | 히가키 료 | 소마 쇼지 | 오리지널 | 포니 캐년 | 도야마현 구로베시・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도야마시 | ||
2017년 | 4월 - 9월 | 사쿠라 퀘스트 | 마스이 소이치 | 요코타니 마사히로 | 야마모토 아키라 | TOHO animation | 도야마현 난토시 | ||
4월 - 6월 | 유정천 가족 2 | 요시하라 마사유키 | 히가키 료 | 소마 쇼지 | 소설 | DMM pictures | 교토부 교토시 | 교토부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2018년 | 4월 - 6월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오이카와 케이 | 이시하라 아키히로 스기우라 리시 |
하시모토 마히데 | 게임 | Cygames | 도쿄도 후추시 | |
7월 - 9월 | 천랑 Sirius the Jaeger | 안도 마사히로 | 고야나기 케이고 | 츠지 미츠히토 | 오리지널 | 워너 브라더스 홈 엔터테인먼트 | 도쿄도 | ||
10월 - 12월 | 물드는 세계의 내일로부터 | 시노하라 토시야 | 가키하라 유코 | 야마모토 아키라 | 해피넷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
2019년 | 4월 - 6월 | 페어리 곤 | 스즈키 켄이치 | 주몬지 아오 | TOHO animation | N/A | 제1쿨 | ||
10월 - 12월 | 제2쿨 | ||||||||
2020년 | 1월 4월 - 7월 |
A3! SEASON SPRING & SUMMER[주 10] | 나카조노 마사토 시노하라 케이스케 |
하야시 나오키 | N/A | 게임 | 포니 캐년 | 공동 제작: Studio 3Hz | |
4월 7월 - 9월 |
천청난만![주 11] | 하시모토 마사카즈 | 하시모토 마히데 | 오리지널 | KADOKAWA | ||||
10월 - 12월 | 신이 된 날 | 아사이 요시유키 | 마에다 준 | 야마모토 아키라 | 애니플렉스 | 야마나시현 야마나시시 | 야마나시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
A3! SEASON AUTUMN & WINTER[23][주 12] | 사코이 마사유키 | 하야시 나오키 | N/A | 게임 | 포니 캐년 | N/A | 공동 제작: Studio 3Hz | ||
2021년 | 7월 - 12월 | 하얀 모래의 아쿠아토프 | 시노하라 토시야 | 가키하라 유코 | 하시모토 마히데 | 오리지널 | DMM pictures | 오키나와현 난조시 | 오키나와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
2022년 | 4월 - 6월 | 파티피플 공명 | 혼마 오사무 | 요네야마 요코 | 츠지 미츠히토 야마모토 아키라 |
만화 | avex pictures | 도쿄도 시부야구 | |
10월 - 12월 | 아키바 메이드 전쟁 | 마스이 소이치 | 히키 노부히로 | 하시모토 마히데 | 오리지널 | Cygames | 도쿄도 지요다구 | ||
2023년 | 1월 - 4월 | Buddy Daddies | 아사이 요시유키 | 가키하라 유코 시모쿠라 바이오 |
애니플렉스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
4월 - 6월 | 스킵과 로퍼 (제1기) | 데아이 코토미 | 츠지 미츠히토 야마모토 아키라 |
만화 | DMM Pictures | 도쿄도 스기나미구 이시카와현 스즈시 |
이시카와현의 민방국에서도 방송. 2025년 1월부터 NHK E테레에서 실질 재방송[24]. | ||
2024년 | 7월 - 9월 | 한밤중 펀치 | 혼마 오사무 | 시라사카 히데아키 | 하시모토 마사히데 | 오리지널 | KADOKAWA | N/A | |
나나레 하나나레 | 가키모토 코다이 | 고니시 츠바사 | DMM Pictures | 군마현 마에바시시・다카사키시・누마타시 | 군마현을 대상 지역에 포함하는 도쿄도의 민방 방송국에서도 방송. | ||||
천수의 사쿠나히메 | 요시하라 마사유키 | 하나다 줏키 | 소마 쇼지 이토 쇼타로 |
게임 | TOHO animation | N/A | |||
2025년 | 4월 - | 나날은 흘러가도 밥은 맛있어[25] | 가와모리 신야 슌스이 토오루 |
히키 요시히로 | 미공표 | 오리지널 | 애니플렉스 | 미공표 | |
미공표 | 제노 세 자매는 의외로, 잘 넘어온다. | 마츠바야시 유이토 | 미공표 | 만화 | N/A | ||||
미공표 | 스킵과 로퍼 (제2기) | 미공표 | 만화 | DMM Pictures | 도쿄도 스기나미구 이시카와현 스즈시 |
방송년도 | 방송일 | 타이틀 | 감독 | 프로듀서 | 각본 | 비고 |
---|---|---|---|---|---|---|
2011년 | 2월 20일 | 마이의 마법과 가정의 날 | 요시하라 마사유키 | 호리카와 켄지 기쿠치 노부히로 |
스가 쇼타로 | 도야마현 내 모든 민방 TV 방송국[주 13]에서 방송. |
개봉년도 | 개봉일 | 타이틀 | 감독 | 각본 | 라인 프로듀서 |
원작 | 배급 | 레이블 | 비고 |
---|---|---|---|---|---|---|---|---|---|
2009년 | 12월 19일 | 레이튼 교수와 영원의 가희 | 하시모토 마사카즈 | 마츠이 아야 | 호리카와 켄지 | 게임 | 도호 | 포니 캐년 | 공동 제작: OLM Team Kamei |
2011년 | 3월 5일 | 만능 야채 닌닌맨 | 요시하라 마사유키 | 오리지널 | N/A | 2010년도 젊은 애니메이터 육성 프로젝트 「PROJECT A」 참가 작품 | |||
2013년 | 3월 9일 | 극장판 꽃이 피는 첫걸음 HOME SWEET HOME | 안도 마사히로 | 오카다 마리 | 츠지 미츠히토 | 쇼게이트 | 포니 캐년 | ||
2018년 | 2월 24일 |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 | 오카다 마리 | 호리카와 켄지 | 반다이 비주얼(반다이 남코 아츠) | 오카다 마리 첫 감독 작품 | |||
2020년 | 2월 29일 | 극장판 SHIROBAKO | 미즈시마 츠토무 | 요코테 미치코 | 소마 쇼지 | 해피넷 픽처스 | |||
2023년 | 11월 10일 | 코마다 위스키 패밀리[26] | 요시하라 마사유키 | 기사와 유키히토 나카모토 무네오 |
N/A | 가가 | N/A | ||
2025년 | 1월 17일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계와 노래할 수 없는 미쿠[27] | 하타 히로유키 | 요네야마 요코 | 게임 | 쇼치쿠 | |||
8월 29일 예정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Dive in Wonderland-[28] | 시노하라 토시야 | 가키하라 유코 | 미공표 | 소설 | 미공표 |
배신년 | 타이틀 | 감독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원작 |
---|---|---|---|---|
2023년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 3주년 기념 메인 스토리 다이제스트 애니메이션[29] |
하타 히로유키 | 야마모토 히카루 | 게임 |
발매년 | 타이틀 | 비고 |
---|---|---|
2002년 | 트라이앵글 어게인 | 오프닝 무비 제작 |
와일드 암즈 어드밴스드 서드 | ||
2006년 |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 -2007년, 애니메이션 파트 제작 |
2007년 | 레이튼 교수와 악마의 상자 | 애니메이션 파트 제작 |
2008년 | 레이튼 교수와 최후의 시간여행 | |
히구라시 데이브레이크 Portable | 오프닝 무비 제작 | |
2009년 | 트리거 하트 엑셀리카[30] | |
레이튼 교수와 마신의 피리 | 애니메이션 파트 제작 | |
2011년 | 레이튼 교수와 기적의 가면 | |
2013년 | 레이튼 교수와 초문명 A의 유산 | |
2017년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년 | 타이틀 | 제작 원청 |
---|---|---|
2004년 | 공각기동대 S.A.C | Production I.G. |
2005년 | 강철의 연금술사 | 본즈 |
2007년 | 에반게리온: 서 | 스튜디오 컬러 |
2008년 | 토라도라! | J.C.STAFF |
2009년 | 에반게리온: 파 | 스튜디오 컬러 |
2012년 | 에반게리온: Q | |
늑대아이 | 스튜디오 치즈 | |
2013년 | ROBOTICS;NOTES | Production I.G. |
2017년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 A-1 Pictures |
2019년 | 귀멸의 칼날 | ufotable |
날씨의 아이 | 코믹스 웨이브 필름 | |
2021년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Season 2 | 스튜디오 KAI |
년 | 타이틀 | 비고 |
---|---|---|
2009년 | 도야마 관광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울리는 하늘을 만나고 싶어 다테야마의 연인 편」[31] | |
도야마 관광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울리는 바다를 만나고 싶어 해변의 우정 편」[32] | ||
도야마 관광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울리는 맛을 만나고 싶어 고카야마의 할아버지 편」[33] | ||
2011년 | 호쿠리쿠 은행CM | 고카야마와 가나자와성, 후쿠이 현립 공룡 박물관 등, 호쿠리쿠 각지의 사람들의 사진이 일러스트로 바뀌는 모습이 담겨 있다[주 14]. |
2012년 | 마이의 엣추 만요 체험기 | 고시노쿠니 문학관 내 상영용 애니메이션. |
2013년 | 사랑 여행~True Tours Nanto | 전용 앱으로 스마트폰에서 무대가 된 지역에서 시청 가능. 난토시의 지역 방송난토 채널에서도 방송했다. |
Planet:Valkyrie[플래닛 발키리] | 치하라 미노리의 곡을 테마로 애니메이션을 부가. | |
2019년 | 리그 오브 레전드(LoL) | 프로모션 PV, 감독: 야마시타 세이고 |
2016년 10월경부터 소속 애니메이터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급여 명세서를 게시하며 회사의 고용 조건 및 임금에 대해 비판적인 트윗을 다수 게시했습니다. 이 인물이 공개한 급여 중 가장 높은 금액은 2016년 10월 지급분의 6만 7569엔이었습니다[34]. 이러한 사실이 주목받아 인터넷 각지에 정보가 확산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본인은 자신과 같은 불행한 신인을 늘리지 않기 위해 이러한 행동을 감행했다고 트윗했습니다. 사태를 심각하게 본 회사는 11월 4일에 홈페이지에 성명을 발표하고 소동으로 인해 관계자에게 폐를 끼친 점을 사과했습니다[35][36]. 해당 애니메이터는 이미 퇴사했으며 자신의 트위터도 삭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