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이하에서는 원칙적으로 기스기 다카오는 "기스기"로 생략, 기스기 에쓰코는 "기스기 에쓰코"로 표기한다.
아티스트 면모
차분하고 도시적이면서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스타일로 알려진 뉴 뮤직 아티스트입니다. 마이너풍의 곡이 많으며, 담담하면서도 서정적인 멜로디가 특징입니다. 거의 비브라토를 사용하지 않는 창법은 “키스기(来生) 스타일”이라고도 불립니다. 가수 활동과 동시에, 누나인 키스기 에츠코와 함께 작곡가로도 활동하며, "세일러복과 기관총"(노래: 야쿠시마루 히로코), "슬로 모션", "세컨드 러브"(노래: 모두 나카모리 아키나), "실루엣 로맨스"(노래: 오하시 준코), "마이 럭셔리 나이트"(노래: 시바타 하츠미) 등 일본 대중음악사에 남을 스탠더드 넘버를 다수 발표했습니다.
자신의 음악의 기본은 향수이며, 뜨겁게 사랑했던 시절을 문득 떠올리게 하는 곡들을 만들어 왔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자신은 가수보다는 작곡가에 더 적합하다고 하면서도, 자신의 작품의 섬세한 뉘앙스를 가장 잘 아는 자신도 노래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1]. 데뷔 앨범부터 최신작에 이르기까지, 그의 스타일은 일관되며, 스스로 매너리즘이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이는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마이페이스로 오랫동안 음악 활동을 이어온 몇 안 되는 아티스트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2002년에는 “나는 아직 좋은 곡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느껴지지 않으면 그만둘 것이다.”라고 전제하며, “지금 동세대 아티스트들이 만드는 곡은 별로다. 왜 이렇게 지루한 곡을 만들어서 부르는지 모르겠다. 옛날 곡이 훨씬 좋다.”라고 단언했습니다[2]. 반면,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오카바야시 노부야스가 파워풀하게 노래하는 모습을 TV에서 보고 자극을 받았다고 털어놓았습니다[3].
일반적인 직함은 싱어송라이터이지만, 담당하는 것은 가창과 작곡이며(자작곡 중 일부는 편곡도 담당), 그런 의미에서는 “가수 겸 작곡가”라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또한, 친남매로 이루어진 송라이터 팀은 흔치 않으며, 특히 데뷔 초에는 부부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한편, 데뷔 이후 레코드 재킷(앨범에서는 주로 띠)에 표기되었던 아티스트 이름의 루비 문자 “키스기”는, “꿈의 도중”(싱글 및 앨범)을 끝으로 사라집니다. 메이저한 존재가 된 데 따른 소소한 변화입니다(로마자 표기는 이후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덧붙여, 어린 시절에는 성에 포함된 “키스”라는 발음 때문에 놀림을 받은 적이 있으며[4], 키스기 에츠코 역시 성에 관해 여러 고생을 한 과거가 있다고 합니다[5]. 또한, 키스기 에츠코의 고찰에 따르면, “우에스기 겐신의 가신이었던 키츠기(来次) 이즈모노카미(木次出雲守)가 키스기 가문의 기원이며, 무사의 신분을 버린 키츠기가 사카타(현재: 야마가타현 사카타시)에 정착할 때, ‘새로운 미래를 살아가다’라는 의미로 ‘키스기(来生)’로 개명한 것에서 유래한다”고 합니다(남매의 아버지는 야마가타현 출신입니다). 이와 별도로, 키츠기의 자관인 이즈모(현재: 시마네현 일부)에는, 키츠키(木次)라는 지명[6]이 존재합니다[5][7].
이노우에 요스이, 오구라 케이에 이어 세 번째 신인으로, 키티 레코드에서 데뷔했을 당시, 젊은이들의 음악은 아직 포크송 색채가 짙었고, 청바지에 스틸 현 어쿠스틱 기타 하나를 든 스타일의 가수도 많았지만, 피아노로 노래하는 남성 싱어는 드물었습니다. 처음에는 더 벤처스의 영향을 받아 기타로 곡을 만들기도 했지만, 음표(키스기 본인은 “올챙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음)로 기록하고 싶고, 작곡의 폭을 넓히고 싶다는 생각에 20세 때 마음을 다잡고, 근처 개인 교습소에서 아이들과 함께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주 1회 레슨을 주 3회로 늘리고, 집에서는 종이 건반으로 연습하며, 바이엘을 3개월 만에 끝내고, 약 1년 반 동안 교습소를 다닌 후에는 독학으로 해냈습니다[8]. 피아노를 시작하게 된 계기 중 하나로, 더 비틀즈의 "Let It Be"의 인트로를 듣고, 이 정도라면 자신도 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9].
송라이터 콤비는, 누나가 무심코 노트에 적어둔 산문에 멋대로 곡을 붙이는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본가를 방문하는 누나의 친구들이 기타로 외국 포크송(피터, 폴 & 메리의 "500마일" 등)을 불렀는데, 그중에는 그들의 자작곡도 있었고, 그것을 부러워하며 들었던 것이 무엇보다 먼저 작곡의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10]. 18세 무렵, 키스기 에츠코와 함께 처녀작 “샐러리맨”(후에 오리지널 앨범 『égalité』에 수록)을 포함한 레코드를 10장 이상 자체 제작하여, 분카 방송과 닛폰 방송에 가져갔는데, 후자에서는 사이토 야스히로의 『올 나이트 닛폰』에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11]. 또한, 데뷔곡이 된 “얕은 꿈”도 19세 때 이미 원곡이 만들어져 있었다고 합니다[12].
초기 곡 작업은, 키스기가 기타로 멜로디 한 프레이즈를 연주하면, 누나 에츠코가 눈앞에서 그에 맞춰 가사를 쓰는 작업을 반복했다고 한다[10]. 대부분의 곡은 곡이 먼저 만들어지고, 나중에 가사가 붙여지지만, 그중에는 'Goodbye Day'처럼 가사가 먼저인 경우도 있다. 키스기는 자유롭게 곡 구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곡이 먼저인 편이 만들기 쉽다고 말한다. 자작곡의 경우, 단번에 완성하는 일은 거의 없고, 부분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잠시 방치하고, 다른 곡 작업을 하면서 완성해 간다. 산책 중이나 잠자리에 들기 전에 떠오른 멜로디를 녹음하거나 악보에 옮기기도 한다고 한다[13]. 첫 모티브에서 자신의 이미지대로 "좋은 곡"으로 만드는 것은 어렵고, 그중에는 7년 정도 걸려 만든 곡(오리지널 앨범 『얕은 꿈』 참조)도 있다고 한다[8]. 제공곡의 경우, 멜로디에 어느 정도 음을 덧붙인 데모 테이프를 만들고, 작사가가 의뢰주의 요구에 따른 가사를 붙이면, 키스기가 노래를 녹음해서 전달하는 흐름이 된다. 미디를 이용한 곡 작업도, 일찍부터 기기를 구입하여 검토는 했지만, 마감 직전까지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일상이라, 좀처럼 능숙하게 다루지는 못하고, 그쪽은 오퍼레이터(최근에는 백 밴드 멤버인 오다기 타카아키)에게 맡기고, 자신은 악기를 연주하는 형태로 만들고 있다[14]. 실제로 제공 가수가 부른 곡은, 생각 외로 좋은 경우도 있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고 말하는 한편[8], 자신이 노래를 부르고 있어도 "왜 이렇게 어려울까. 좀 더 쉽게 만들 수 없을까"라며 자작곡에 대한 생각을 토로하고 있다[4]. 또한, 제공 희망 가수로 이노우에 요스이의 이름을 거론하고 있으며[15], 이노우에 요스이를 이미지하여 만들어진 곡도 있지만, 2000년에 발매한 싱글 '지상의 스피드'에서 공동 작업(작사: 이노우에 요스이/작곡 및 가창: 키스기 타카오)은 실현되었지만, 2010년 1월 현재 "작곡: 키스기 타카오/가창: 이노우에 요스이"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야구라 긴”이라는 필명으로 자작곡 몇 곡은 편곡도 맡고 있다. 이 이름은 쇼기의 전법(포진) 중 하나인 야구라 포진과 은장을 합친 것이다. 녹음에는 기본적으로 보컬로만 참여하지만, 스스로 편곡한 곡 중에는 피아노나 전자 피아노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콘서트에서는 지금까지, 그랜드 피아노, 전자 피아노, 통기타, 일렉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를 불렀으며, 2001년부터는 피아노 연주와 노래만으로 이루어진 무대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점차 마이크를 들고 노래하는 기회도 늘었지만, 후자는 불필요한 것(객석의 사람들의 출입 등)이 신경 쓰여서, 전자가 더 집중할 수 있다고 한다[14]. 또한, 전속 백 밴드는 "Win 9"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고, "스타틀"로 개명한 후, 몇 번의 멤버 교체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베스트텐』, 『밤의 히트 스튜디오』, 『뮤직 스테이션』 등, 수많은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해 왔지만, 압도적인 수의 사람들이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집중해서 노래할 수 없기 때문에, 그다지 나가고 싶지 않고[1], 만족스럽게 노래한 적도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14]. 텔레비전 출연 심경을 자주 "수명이 줄어든다"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으며[9], 특히, 가수 데뷔 다음 달에 출연한 TBS 텔레비전 계열 음악 프로그램 『사운드 인 "S"』에서는, 쟁쟁한 사람들과 함께 메들리를 했고, 실패하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는 극도의 긴장감을 맛보았으며, 그때의 광경은 지금도 꿈에 나타난다고 한다[16].
사생활
키스기 에츠코에 따르면, 유년 시절에는 멍한 아이였고, 몇 번을 고쳐줘도 "연필"을 "이친푸"라고 표현하는 등, 몇몇 단어를 잘못 기억하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나카무라 킨노스케, 카타오카 치에조, 오토모 류타로 등의 영향으로 칼싸움 놀이를 하거나, 보자기를 걸치고 월광가면 흉내를 내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내성적이었고, 그 경향은 성인이 된 후에도 변하지 않았으며, 도시 아이의 나약함을 가진 수줍은 사람이라고 한다[17]. 본인도 그 경향을 인정하고 있으며, 집을 한 발짝 나서면 얌전해진다고 말하고 있다[18]. 자신의 성격을 대인기피증 기질이 있다고 평가하는 것처럼,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출연 시 토크를 어려워하고, 기본적으로 과묵하고 담담하기 때문에, 사회자나 출연자들이 그 점을 지적하거나 신경 쓰는 일도 드물지 않다. 프로로서 첫 무대에서는 MC용 대본을 준비했을 정도이다[12]. 남매가 함께 미디어에 나올 기회는 별로 없지만, 함께 출연할 때는 키스기 에츠코가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똑 부러지는 누나와 수줍은 남동생"이라는 훈훈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사상가 키시다 슈의 "모든 것은 환상이다"라는 주장에 충격을 받고, 공식 홈페이지 기획 "키스기 타카오 토크 세션" 제3탄[19]에서는 대담도 실현했다(키시다 슈 저 『관료병으로부터 일본을 구하기 위해 키시다 슈 담화집』〈신쇼칸/2009년 5월〉에 수록). 또한, 좋아하는 말은 "색즉시공, 공즉시색"(반야심경의 한 구절)이라고 말하며[9], "긍정적, 플러스 사고라는 말은 좋아하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순수한 연애는 불가능하다" 등, 부정적인 발언도 적지 않으며, 자신은 염세적인 인간이라고 고백하고 있다[20].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큰 야망, 작은 야망"이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예전부터 큰 꿈도 야망도 없다"라고 전제하면서, 굳이 말하자면, 큰 야망은 "아내와 함께 차로 일본 전국 온천 순례", 작은 야망은 "택시 운전사"라고 말하고 있다[21]. 한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행복이란?"이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는, "한마디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고 답하고 있다[22].
35-45세 무렵, 키스기 에츠코의 중개로, 야마구치 마사오를 중심으로 한 테니스 서클 "야마구치구미"에 부부 동반으로 참가하여, 구리모토 신이치로나 무라카미 류 등과 함께 플레이했다고 한다[23]. 또한, 쇼기 기사인 타마루 노보루나 타카하시 미치오와도 테니스 친구였으며, 프로 테니스 선수 후쿠이 츠요시에게 상대해 달라고 한 적도 있다고 한다[23].
기스기 에츠코가 이끄는 야구팀 "비코즈"에 얼굴을 내밀던 시기도 있었지만, 현재는 프로 경기 관람을 주로 하며, 요미우리 자이언츠나 라쿠텐 이글스의 팬이다. 응원하는 팀이 지면 식욕이 떨어지고, 프로야구 뉴스를 전혀 보지 않을 정도로 기분이 나빠지지만, 반대로 이기면 거의 모든 스포츠 뉴스를 본다고 한다.[24] 최근에는 국내보다 메이저 리그에 더 관심이 있는 듯하다.
또한, 쇼기, 마작, 파친코 등 실내 게임을 좋아한다. 히가시쿠루메 쇼기 클럽에 소속되어 요네나가 구니오나 다마루 노보루 등과 대국한 적도 있었다. 이비샤를 특기로 하며, 이노우에 요스이와 쇼기를 두었을 때는 이겼다고 한다.[23] 마작은 이노우에 요스이를 비롯해 마츠토야 마사타카, 유미 부부와도 자주 즐겼던 것 같다. 파친코는 그 수익으로 집 욕실을 개조한 적도 있었다.[25] 게다가, 과거에는 『제비우스』나 『스페이스 인베이더』 등의 아케이드 비디오 게임에도 빠져, 집에 게임기를 들여놓을 정도로 열중했다고 한다.[26] 스스로도 인정하는 몰두하는 기질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마작과 쇼기에 관해서는 공식 홈페이지 기획 "기스기 다카오 토크 세션" 제1탄[27], 제2탄[28]에서 프로를 포함한 대담을 진행했다.
2003년 오즈 야스지로 탄생 100주년을 계기로, 그전까지는 거의 관심이 없었던 그의 작품에 갑자기 빠져들어 앨범 디자인 작업에 그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오리지널 앨범 『avantage』에는, 동 감독 작품 『나가야 신사록』(주연: 이이다 초코)에서 류 지슈가 부른 "엿보기 장치"의 한 구절에 개인사를 담은 "꿈의 도중보"를 수록하고 있다. MC나 방송 출연 시에는, 동 감독 작품을 포함해 영화 이야기를 꺼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골초로, 담배(및 커피)가 없으면 곡을 만들 수 없다고까지 말한다. 1983년 부정맥이 생긴 것을 계기로[29], 담배 브랜드를 "하이라이트"에서 "세븐스타"로 바꿨지만[30], 1990년 인터뷰[31]에서는 하루에 약 60개비를 피운다고 밝혔으며, 1997년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건강을 위해 피우고 있다. 끊으면 암세포가 움직여 폐암에 걸린다. 어차피 죽을 텐데 위험을 피하며 사는 것은 재미없다"라고 독자적인 철학을 말하며, 하루에 약 80개비를 피운다고 말했다.[32] 덧붙여 이때, 좋아하는 커피는 키커피 아이스라고 말했다.
성게, 연어알 등 고급 식재료는 먹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 콘서트 투어로 각지를 돌 때도 별로 특산물에 관심이 없고, 평소에는 라면, 볶음밥, 스파게티 등을 좋아한다.[33] 기스기 에츠코에게는 입맛이 어릴 때와 변하지 않았다고 놀림을 받기도 했다.[25]
애차는 미니 쿠퍼이다. 장래에는 더 쉽게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주로 아내 차 조수석에 앉아 있었지만, 49세에 마음을 다잡고 한 번에 합격했다. 계기는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운전을 하지 않았던 이노우에 요스이가 면허를 취득한 것에 있는 듯하며, 그 이노우에는 기스기가 자동차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기 며칠 전에 회식을 하고, 그 후 귀갓길 중간까지 자신의 차로 데려다준 사실을 언급하며, 만사 변화를 바라지 않는 이미지의 기스기가 운전을 시작한 의외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오리지널 앨범 『Dear my company』에 작사 및 코러스로 참여했을 때, 미니 쿠퍼 좌석에 길버트 오설리반의 CD 케이스가 아무렇지도 않게 놓여 있는 것을 알아챘다고 한다.[34]
골든 리트리버 "마루"[35](현재는 2대째), 미니어처 닥스훈트 "미미"를 키우고 있으며, 애견 산책도 취미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산책 중에 멜로디를 떠올리거나 가사를 외우기도 한다고 한다. 도쿄도 내에 있는 고가네이 공원을 산책 코스 중 하나로 하고 있으며, 공원 내 매점에서 판매하는 고로케를 좋아한다고 한다.[36] 해당 매점에서는 한때 "기스기 다카오 씨 추천 고로케 1개 100엔"이라는 문구가 사용되었다.
"아내는 밥 같은 존재(질리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그 애처가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만남은 1978년 콘서트장 대기실이었다.
개그맨 코지마 요시오와 생일(11월 16일)이 같다는 것을 알고 갑자기 친근감이 생겼다고 한다.[37] 개그 그룹 와가야가 재미있다고 발언했다.[37]
콘서트 투어 1~2주 전이 되면 자주 같은 꿈을 꾼다고 한다. 개막 직전인데도 아무 준비도 되어 있지 않고, 영문도 모른 채 엉터리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 객석에서 야유가 터져 나온다는 내용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꿈속에서 작곡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좋은 곡이라고 느끼면서도 잠에서 깨면 기억나지 않는다고 한다.[38]
음악적 취향과 영향
원래 더 벤처스, 테라우치 타케시와 블루진스 등의 연주곡을 즐겨 들었으며, "노래가 있는" 음악에는 관심이 없었다. 비틀즈의 일본 공연에 갔지만, 이는 동 그룹의 앨범 『Rubber Soul』에서 기존 밴드와는 다른 매력을 느낀 기스기 에츠코가, 그 사실을 동생에게도 알리고 싶어, 사정상 동행할 수 없게 된 친구 대신에 권유한 것이었다.[10] 이윽고 기스기 자신도, 특히 폴 매카트니의 작품을 존경하게 된다.
한편, 우연히 재킷이 마음에 들어 산 길버트 오설리반의 싱글 "さよならがいえない"(원제: No Matter How I Try)과, 이어지는 "Alone Again"이나 "Claire" 등에, 찾고 있던 것을 만났다는 의미에서 큰 충격을 받고, "대명신"이라고 칭할 정도로 숭배하게 되었으며, 그 곡(특히 "Claire")을 모티브로 만든 곡도 많고, 또한 그 초기 스타일을 모방한 의상으로 앨범 재킷을 장식하거나, 비슷한 의상으로 "Alone Again", "Claire"를 커버하기도 했다.[39] 시각적으로도 큰 영향을 받았음을 엿볼 수 있지만, 여기에는 "다다미방 포크"에 익숙하지 않고, 동생이 만드는 세련된 팝의 이미지를 강하게 지지했던 기스기 에츠코의 "장발에 청바지라는 스타일만은 피하고 싶었다"라는 의향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10]
그 외에도 좋아하는 아티스트나 곡으로 프랑시스 레(영화 ' 하얀 연인들'의 메인 테마), 헨리 맨시니( ' Moon River'), 버트 배커랙( ' Raindrops Keep Fallin' On My Head'), 에밋 로즈, 마이클 존슨 등을 꼽고 있다[40]. "무인도에 가져갈 한 곡"을 묻는 질문에는 영화 ' 태양은 가득히'의 메인 테마(작곡: 니노 로타)를 선택하며[25], 고금의 곡 중에서 가장 좋아한다고 말했지만, 다른 방송에서는 'Moon River'를 가장 좋아하는 곡으로 꼽았다[41].
또한, 최근 콘서트에서는 쇼와 시대의 유행가를 선보이게 되었으며, 2008년에는 초등학생 시절 애창곡이었던 '비에 피는 꽃'(노래: 이노우에 히로시)과 히라오카 세이지 작품 등의 커버를 수록한 오리지널 앨범 ' 여운'을 발매하여, 앞서 언급한 해외 아티스트 이전부터 쇼와 가요의 영향도 있었음을 공표했다.
다른 작가의 곡에는 음악 이론적인 관점에서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고바야시 아세이 작곡의 '기타를 켜자'(노래: 카토 토키코), 카야마 유조(탄 코사쿠 명의) 작곡 및 노래의 '너의 수프를' 등에서는 그 전조의 재미를 이야기하며[42], 1999년에 엘비스 코스텔로가 부른 'She'에 대해서는 "좋아하는 곡이지만, 처음 멜로디는 좋지만 후반부는 조금 아쉽다"라는 감상을 말했고, 또한 처음에는 완전히 새로운 곡이라고 생각했지만, 커버(샤를 아즈나부르의 1974년 작품)라는 것을 알고 실망했다고 한다. 이는 예전처럼 단순하고 좋은 곡이 최근에 나타났다고 감격했기 때문이다[14].
길버트 오설리반에 관해서는 코드, 멜로디, 구성이 의외의 전개를 보이는 점, 재즈 코드를 사용하면서 팝 스타일로 마무리하는 점, 한 곡 안에 다양한 에센스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점 등을 그 매력으로 꼽고 있으며, 자신의 목소리에 맞는 아름다우면서도 단순한 코드 진행이나 멜로디인 폴 매카트니 작품보다 더 응축되어 있고[10], 전문적인 음악적 교양에서 만들어지는 버트 배커랙 작품보다 재미있다고 분석하고 있다[43]. 또한, 보컬 필링이나 2박, 4박을 강조하는 리드미컬한 피아노 연주에도 언급하며[44], 독창적인 센스를 가진 "마지막 싱어송라이터"라고도 평가하고 있다[43].
활동 경력
데뷔 전야
20대 초반, 대학 시절(20세 때)에 결성한 3인조 밴드 "비코즈"(피아노, 기타, 베이스 편성)로 음악 찻집(긴자 택트, 시부야 "푸른 숲" 등)에 출연하게 된다(시부야 지앙지앙은 오디션에서 탈락). 밴드 이름은 데이브 클라크 파이브의 곡 "Because"에서 유래했으며, 라이브 오프닝에서는 이 곡을 불렀다고 한다[41]. "푸른 숲"에서는 앙드레 카도레라고 칭했던 이노우에 요스이와 만나, 서로 오리지널이나 비틀즈 넘버를 연주했기 때문에 친해진다. 당시, 아직 기타 한 대로 활동하던 이노우에는 밴드 편성을 해보고 싶다는 바람이 있었고, "비코즈"가 백밴드를 맡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멤버들이 빠져버렸기 때문에, 이노우에와 라이스 두 사람이 시부야 지앙지앙이나 하라주쿠 RUIDO 외에 간토 근처의 라이브나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되었다[10]. 폴 매카트니의 "Monkberry Moon Delight" 등을 선보였지만[45], 라이스는 당시를 회상하며 "갓 배운 피아노로 폐를 끼쳤을지도 모른다"고 회고하고 있다[22]. "푸른 숲"에서는 후루이도나 RC 석세션과 마주치는 일도 있었고, 이마와노 키요시로와는 2000년에 공동 작품(작사: 이마와노 키요시로/작곡: 라이스 타카오)도 실현시켰다.
2년 정도가 지나고, 이노우에가 싱글 '꿈속으로'를 크게 히트시키는 한편, 라이스는 아르바이트 생활을 계속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이노우에나 오구라 케이의 디렉터를 맡았던 타가 히데노리와 알게 되어, 이노우에의 첫 번째 앨범 ' 단절'에 통기타로 참여하게 된다. 라이스는 타가와의 만남을 이끌어준 이노우에의 존재가 데뷔의 큰 계기였다고 하며, 이후 콘서트 MC나 인터뷰에서 반복해서 회고하고 있다. 같은 시기, 이즈미 타쿠, 하마구치 쿠라노스케 등의 작곡가 밑으로 제자 입문을 각오하고 곡을 팔러 다니기도 했지만, 거의 문전박대 상태였다고 한다[46]. 그 후, 타가에게 데모 테이프를 들고 갔지만, "레코드로 만들 만한 좋은 곡은 없다"라며, 이쪽도 또한 거절당하고 만다. 자신 있었기에 큰 충격을 받은 라이스였지만, 이 사람에게 인정받지 못하면 다른 곳에 가도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포기하지 않았다[10]. 라이스 에츠코에 따르면, 타가가 질릴 정도의 끈질김이었다고 한다[46]. 이윽고, 스튜디오 출입을 허락받아, 후에 ' 헤엄쳐라! 붕어빵군'을 작곡하게 되는 사세 쥬이치와 서로의 곡을 도와가며 데모 테이프 만들기에 힘쓰고, 동시에 사원으로서 경위를 맡는 나날이 한동안 계속된다[10]. 덧붙여, 경위 업무로서 하네다 켄타로에게 피아노를 의뢰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3].
이대로 경위로 살아갈까 생각하던 무렵, 데모 테이프 내의 한 곡 '취한 천사의 폴카'가 타가에게 인정받아, 카메부치 유카에게 제공곡으로 채택된다. 또한 1974년 11월 5일, 후에 타카다 마키코도 부르게 되는 '종지부'를 들은 타가로부터 "당신의 레코드를 만들려고 생각하고 있다"라는 연락이 왔다. 보컬의 미숙함을 자각하면서도, 자작곡에 가장 적합한 것은 자신의 목소리라고 느끼고 레코드 데뷔를 꿈꾸던 라이스는 이 말에 매우 감동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써 두었던 곡 중에서 50곡을 데뷔 후보곡으로 녹음하게 되고[10], 싱어송라이터 라이스 타카오가 탄생하게 된다.
라이스 타카오 대탄생
『주간 소년 매거진』 1976년 12월 12일호에서 “컬러 특별 기획 요스이・오구라 케이에 이어 혜성처럼 등장한 뉴 싱어송라이터 키스기 타카오 대탄생”이라는 제목의 권두 특집이 실렸다. 톱 페이지에는 오구라 케이도 함께 실려 있었는데, 그는 “도쿄역인가 어딘가의 앞 가로수길에서 찍었다”고 증언했다[47]. 또한, 해당 기사에는 이노우에 요스이가 “살아있었네, 키스기 군”이라는 제목으로 보낸 코멘트도 실려 있다.
당초, 이노우에 요스이나 오구라 케이, 존경하는 해리 닐슨처럼, 텔레비전 등의 매체에는 그다지 등장하지 않고 곡만 발표하는 “레코딩 아티스트”와 같은 활동 형태를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4], 당연히 타가가 담당했던 이노우에나 오구라와 같은 노선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앞서 언급한 소년 잡지 특집을 시작으로, TBS 계열 음악 프로그램 『사운드 인 "S"』에서 데뷔 앨범이 소개되거나, FM 라디오에서 특집 방송이 편성되는 등, 갑자기 적극적인 노출이라는 방침으로 결정되어 크게 당황했다고 한다[46]. 오구라 케이에 따르면, 이 무렵의 키스기는 너무 과묵했기 때문에, 동행인으로서 함께 라디오에 출연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47].
불우한 시대
데뷔 앨범 『얕은 꿈』(1976년 10월 21일 발매)은, 어레인저・스튜디오 뮤지션으로서, 전 더 맙스의 호시 마사루나, 다카나카 마사요시, 다카하시 유키히로, 오하라 칸, 이마이 유타카, 고토 쓰구토시 등의 사디스틱 미카 밴드 참가 멤버, 그리고 야스다 히로미, 오무라 겐지, 고레카타 히로쿠니, 사이토 노부오, 무라카미 슈이치, 하마구치 시게토모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제작된 역작임을 엿볼 수 있다. 주변 관계자들은 20~30만 장 판매는 확실하다고 예상했고, 아라이 유미도 마음에 들어 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6,000장이라는 크게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로 끝나버렸다.
이어진 2집 앨범 『지그재그』(1977년 10월 21일 발매)은 로스앤젤레스의 스튜디오 “라라비 사운드”에서 레코딩이 진행되었다. 데이비드 포스터, 제이 그레이든, 짐 켈트너 등 쟁쟁한 면면이 스튜디오 뮤지션으로 참여했지만, 이는 오구라 케이, 호시 마사루, 야스다 히로미의 유닛인 플라잉 키티 밴드의 앨범 『5・4・3・2・1・0』 레코딩을 하는 김에 키스기의 앨범도 녹음해 버리자는 레코드 회사의 방침이었던 것 같다. 또한, 해당 앨범에 수록할 곡이 부족하여 급히 현지 호텔에서 이미 완성되어 있던 오구라 케이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고 한다[47](키스기 타카오 관련 작품 “제공곡” 참조). 덧붙여, 이때가 키스기에게는 처음으로 해외여행이었다. 해외 녹음이라는 화제성도 겸비한 『지그재그』에 이번에야말로 주변의 기대도 높아졌지만, 결국 판매량은 12,000장에 머물렀다.
키스기 남매 자신은 자신들의 곡이 레코드로 나온다는 기쁨이 더 컸기 때문에, 위 두 앨범의 판매량 결과에 특별히 실망하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앞으로도 레코드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은 있었다고 한다[46].
그러던 중, 시바타 하쓰미에게 제공한 “마이 럭셔리 나이트”(1977년 7월 10일 발매)가 히트한다. 이 곡은 고바야시 아세이, 쓰쓰미 교헤이 등 베테랑 작가진이 참여한 도요 공업(현: 마쓰다)의 CM 곡 공모를 위해 쓰여진 것으로, 키스기 남매는 무명인 자신들의 작품이 선택될 리 없다고 생각했지만, 참가 14곡 중 마지막 2곡에 남았고, 최종적으로 시바타 하쓰미 자신이 선택함으로써 영광을 차지했다[45].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은 송라이터 콤비로서 일약 각광을 받게 되었고, 이후 곡 제공 의뢰가 잇따라 들어오게 된다[46].
한편, 키스기 자신도 마이페이스로 꾸준히 곡을 발표하고, CM과의 제휴나 영화・드라마 주제가로도 기용되었지만, 좀처럼 큰 히트를 얻지 못했다. 점차 가수가 아닌 작곡가에 전념해야 할지 고민하기 시작했을 무렵, 10번째 싱글 “Goodbye Day”가 히트하면서 조금 더 노력해 보려고 분발하게 된다[46].
일약 히트 메이커로
1981년 12월 19일, 전국 도에이 계열에서 개봉된 가도카와 하루키 사무소/키티필름 제휴 영화 『세라복과 기관총』의 주제가는 당초 키스기 자신의 가창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어 레코딩도 마쳤지만, 감독인 소마이 신지에 의해 해당 영화의 주연 여배우인 야쿠시마루 히로코가 부르는 발안이 키티필름 대표인 타가 히데노리에게 제안되었다[48]. 호평을 받았던 싱글 “Goodbye Day”에 이은 곡으로서, 프로듀서인 타가 히데노리와 함께 남매 자신도 히트를 예감하고 있었고, 여기서 기세를 타고 싶다고 생각하던 중이었기 때문에 큰 소동이 일어났다. 타가는 도에이 측에 밀려 승낙했지만, 야쿠시마루가 키스기의 팬이었던 것도 있어, 각각 “세라복과 기관총”과 “꿈의 도중”으로 발매하는 “경쟁 싱글”이라는 형태로 결론을 내렸다[49].
이 두 곡은 일부 가사에 차이가 있지만, 의도적인 것은 아니다. 키스기 에쓰코에 따르면, 레코딩 직전까지 가사를 바꾸는 것은 다반사였고, 이때는 평소보다 더욱 시행착오를 거듭했기 때문에, 전달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다고 한다. “꿈의 도중”이라는 제목은 불현듯 떠올렸지만, 먼저 제목이 정해지는 경우는 드물고, 또한 히트를 기대하는 곡에는 “꿈”이라는 키워드를 넣는 그녀로서는, 키스기의 데뷔곡 “얕은 꿈”과 관련하여 고집을 가지고 있던 “꿈의 도중”이라는 문구가 “세라복과 기관총”의 가사에서 사라진 것은 아쉬웠지만[50], 야쿠시마루의 맑은 목소리를 들었을 때는 “될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5]. 또한, 키스기는 해당 영화의 주제가 후보로 3곡을 준비했고, 그 결정은 프로듀서에 의해 이루어졌다. 키스기는 자신이 없었던 곡이 선택되었다고 회고하고 있다[25].
「세라복과 기관총」(1981년 11월 21일 발매)은 발매 전부터 예약이 쇄도하여 순식간에 오리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한편, 같은 해 11월 10일에 먼저 발매된 「꿈의 도중」은 처음 오리콘에서 200위 전후였지만, 「세라복과 기관총」의 영향 때문인지 순위가 계속 상승하여 다음 해 3월에는 최고 4위, 유선에서는 1위를 차지하며 키스기의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덧붙여, 이 곡의 B면에 수록된 「아름다운 여자」를 작사한 야마카와 케이스케와 키스기는 거의 면식이 없었지만, "한번 만났을 때 야마카와 씨로부터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B면 작사가에게도 막대한 인세 수입이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자신의 콘서트에서 이야기했다[47].
「꿈의 도중」, 「세라복과 기관총」의 대히트로 곡 제공 의뢰가 쇄도하여 연간 100곡 이상을 만들던 시기도 있었으며, 때로는 키스기가 매너리즘에 빠졌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꿈의 도중」과 같은 곡을 만들어 달라는 주문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비슷한 코드 진행이 되어 버렸다고 토로했다[51]. 또한, TBS 드라마 『2학년 B반 센파치 선생님』의 주연 이야기가 들어왔지만, 음악 외의 일을 할 마음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다[29].
「실루엣 로망스」는 산리오(후에 출판권은 할리퀸으로 이관)의 「실루엣 로망스 시리즈」의 이미지 송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처음부터 타이틀은 정해져 있었다. 실력파 가수인 오하시 준코가 부른다는 것에 마음껏 어려운 곡을 만들려고 생각한 키스기는 먼저 완성된 후렴 부분에서 확실한 가능성을 느끼고 "이거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한편, 키스기 에츠코에 따르면, 이 곡을 너무 과도한 감정을 담아 부르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에 일부러 오하시가 아직 노래에 익숙해지기 전의 처음 2~3 테이크를 사용하게 했다고 한다[46]. 당시 휴업을 생각하고 있던 오하시는 가수 활동 재개까지 세상이 자신을 잊지 않도록 이 곡을 히트시키고 싶어 했으며[52], 실제로 「세라복과 기관총」이 순식간에 히트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서서히 인기를 얻어 오하시 자신도 제24회 일본 레코드 대상 최우수 가창상을 수상했다. 또한, 키스기도 제2회 일본 작곡 대상 우수 작품상을 키스기 에츠코와 함께 나카야마 신페이, 사이조 야소 상을 수상했으며, 그 후에도 많은 가수가 커버를 시도하는 스탠더드 넘버가 되었다(키스기 타카오 관련 작품 "커버곡" 참조). 이노우에 요스이는 키스기가 이 곡을 부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우연히 보고 "가사의 훌륭함, 곡의 훌륭함, 키스기 타카오의 진지한 자세가 어우러져, 무심코 눈물을 글썽였다"라고 말하면서, 다시 눈앞에서 키스기의 노래를 들은 후에는 "파친코 하는 틈틈이 이런 좋은 곡을 만들고 있는 것 같아요"라고 놀렸다[22].
「세컨드 러브」는 「실루엣 로망스」의 히트로 오하시 준코 측에서 다시 곡 제공 의뢰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만든 곡이었지만, 나카모리 아키나를 담당하고 있던 디렉터의 눈에 띄어 꼭 아키나에게 부르게 하고 싶다는 이유로 제공하게 되었다. 다만, 세컨드 싱글이라는 이유로 「세컨드 러브」라는 타이틀을 붙였지만, 실제로는 3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오하시 준코용으로 음역을 넓게 해서 만든 이 곡을 아직 데뷔한 지 얼마 안 된 나카모리가 불렀다는 것에 대해 키스기는 "힘들었을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46]. 또한, 이 곡이 제3회 일본 작곡 대상을 수상했을 때, 마츠토야 유미가 하라다 토모요에게 제공한 「시간을 달리는 소녀」도 후보에 올랐으며, 회장의 키스기 타카오 및 그 관계자는 좀처럼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마츠토야가 일부러 와서 게다가 무대로 향하기 쉬운 통로 쪽에 앉아 있었기 때문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수상은 사전에 결정되어 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46]. 덧붙여, 이 상의 경품으로 자동차가 증정되었지만, 당시 자매는 모두 운전면허가 없었기 때문에 급히 키스기 부인이 교습소에 다니게 되었다. 또한, 이 곡보다 먼저 마츠토야 유미가 같은 타이틀로 작사한 곡(작사: 고다 카루호/작곡: 스기 마사미치)을 스도 카오루에게 썼으며, 후에 그것을 알게 된 키스기는 동요했다고 한다(공식 팬클럽 "TAKAO CLUB"의 회보 "HEAD ROCK").
1983년, 염원하던 미소라 히바리에게 곡 제공이 실현되었다. 제공곡 「웃어줘 문라이트」는 대히트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갔지만[4], 키스기 자신은 명곡이라고 자부하고 있다. 녹음할 때 히바리는 새빨간 슈트 차림으로 스튜디오에 나타나 편곡을 담당한 사카모토 류이치와 함께 감격했다고 한다. 녹음 자체도 무난하게 완료했으며, 프로 의식을 느꼈다고 말했다. 또한, 자매가 히바리 저택을 방문한 적도 있으며, 그때 더 재즈 넘버도 불러주기를 간청했더니, 히바리 자신도 그것을 희망하고 있지만, 많은 관객의 요구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토로했다[53]. 히바리와는 후지 TV 계열 음악 프로그램 『밤의 히트 스튜디오』에서 한 번만 공연하기도 했지만, 프로그램 측의 피아노는 페이크라도 상관없다는 의향으로 키스기는 피아노를 향하고만 있었을 뿐 실제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밝혔다[3].
1984년, 프랑스 파리에서 기획 앨범 『LABYRINTH』의 녹음을 진행했다. 이 앨범의 프로듀스와 전 편곡을 담당한 폴 모리아는 그때까지 필연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이유로 일본인 아티스트로부터의 프로듀스 의뢰를 거절했지만, 키스기의 곡과 자신의 편곡은 어울린다고 느껴 수락했다고 한다[54]. 또한, 키스기를 "겉보기에는 단순하지만 사람의 귀를 사로잡는 명쾌하고 낭만적인 음악을 만드는 아티스트"라고 평가하며, 그 멜로디와 보컬이 가진 독창성에 존경심을 품었다고 한다. 키스기 작품은 다소 유럽적으로 들리지만, 그 멜로디가 가진 센티멘털하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는 프랑스에는 없는 일본적인 울림이라고 하며[54], 모두 멜로디 라인을 중시한 아름다운 곡이라고 말했다[55]. 이에 대해 키스기는 자신의 작품 멜로디를 살려주는 아름다운 스트링을 기쁘게 느꼈으며[55], 또한 폴 모리아의 악보에 보통 각 악기 연주자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많은 필인까지 상세하게 적혀 있는 것을 보고 그 완벽주의적인 모습에 놀랐다고 한다. 같은 해에 개최된 폴 모리아의 일본 내한 공연 『PAUL MAURIAT JAPAN TOUR 1984』의 11월 23일, 12월 2일에 게스트 출연했으며, 다음 해 1985년에는 위 앨범을 기초로 한 『LABYRINTH TAKAO KISUGI with PAUL MAURIAT』라는 제목의 영상 작품도 발매했다. 또한, 2008년에 발매된 10장 세트 CD 『폴 모리아의 세계』(유캔〈유니버설 뮤직〉) 부록 특별 편집 잡지 『폴 모리아 이야기』에는 "폴 모리아와의 추억"이라는 제목의 코멘트를 기고했다.
1986년 6월 30일 - 7월 22일, 가수 데뷔 10주년 기념 콘서트 『기스기 다카오 10th ANNIVERSARY “ELEVEN NIGHT THEATER”』(도쿄도・FM도쿄홀)가 개최되었다. 11일간(주말을 포함한 3일 단위) 기존의 오리지널 앨범 11장 전곡을 선보이는 전대미문의 내용이었다. 마침 다음 오리지널 앨범 『I Will...』 제작 중이기도 하여, 기스기 본인은 이 기획을 수락할지 꽤 고민했지만, 먼저 공지가 나버린 탓에 어쩔 수 없이 강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우려했던 대로 콘서트는 준비 단계부터 매우 힘들었다. 기본적으로 기스기 본인이 백수십 곡에 달하는 곡의 라이브용 편곡을 한 후, 백 밴드와 함께 리허설을 진행했고, 콘서트가 시작된 후에도 매번 세트리스트가 달랐기 때문에 무대가 끝날 때마다 다음 연습을 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앨범 제작은 일단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MC 내용도 항상 같을 수 없었기에 콘서트 후반에는 기스기 에쓰코가 대본을 준비했고, 그녀 자신도 스케줄이 되는 날에는 무대에 올랐기 때문에 관객석에서 편안하게 즐기지 못해 아쉬웠다고 한다. 모든 무대가 끝난 후, 기스기는 매우 지쳐 있었지만, 곧바로 앨범 제작이 재개되었고, 남매는 사무실과 레코딩 스튜디오로 나뉘어 칩거했다. 당초 기스기 에쓰코는 가수 데뷔 10주년 기념 앨범이기도 하기에 예전처럼 무릎을 맞대고 한 곡 한 곡 만들고 싶다는 생각도 있었지만, 시간상 불가능하여 아쉬웠다고 회고한다. 덧붙여 이 기획을 먼저 들었다면 절대 반대했을 것이라고 고백했다[53]. 한편, 7월 12일(『꿈의 도중』 회차) 무대는 후일 라디오로 방송되었다.
1990년, 이노우에 요스이의 싱글 「소년시대」(같은 해 10월 21일 발매)에서 피아노를 담당한다. 이노우에는 기스기에게 의뢰한 이유로 “그는 곡을 만들고 노래하는 만큼 피아노가 부족할까 싶어서”라고 웃으며, 어딘가 미완성이고 아직 발전할 여지가 있는 소년이라는 이미지가 곡조에 어울렸고, 실제로 바라던 피아노 연주였다고 밝혔다[22]. 기스기에 따르면, 스튜디오의 이노우에로부터 “지금 레코딩하고 있는데, 어쨌든 와줘”라는 전화가 왔고, “폴 매카트니 같은, 전문 피아노 연주자가 낼 수 없는 맛의 피아노가 필요하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56]. 1999년 9월 24일, 이노우에 요스이의 몇 년 만의 전국 콘서트 투어에 앞서 개최된 시크릿 라이브에서 처음으로 이 곡을 함께 연주했다.
1991년 5월 23일, 가수 데뷔 15주년 기념 이벤트로 도쿄 일본무도관에서 『기스기 다카오 in 무도관 ~어쿠스틱 스페셜~』을 개최했다. 「꿈의 도중」이 크게 히트했을 당시에도 같은 장소에서 공연하라는 권유가 있었지만, 자신의 콘서트로는 수용 인원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거절했었다. 그러나 가수 데뷔 15주년을 맞아 다시 이 기획이 나왔을 때는 기념적인 해이기도 하고, 넓은 장소에서 보고 싶어 하는 팬들의 마음도 고려하여 일생에 한 번이라는 생각으로 실현시켰다. 편성은 기스기 본인의 피아노, 백 밴드 “스타틀”, 70명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였다. 참고로 아마추어 시절에 같은 장소에서 더 비틀즈의 일본 공연을 봤을 때와 달리, 안전지대의 공연을 봤을 때(가수 데뷔 15주년 기념 이벤트 몇 년 전)는 같은 장소를 그다지 크다고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4].
1991년 10월 25일, 길버트 오설리반과의 경작 싱글곡 「만나서 좋았어」, 「What A Way (To Show I Love You) / 만나서 좋았어」가 발매된다(오설리반은 후자의 작사도 맡았으며, “공동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오설리반 팬인 기스기는 이전에도 오설리반의 베스트 앨범 『어론 어게인』(1986년 3월 25일), 『어나더 사이드』(1988년 6월 25일)에 코멘트를 기고(후자는 선곡 감수도 겸임)했지만, 1990년 일본에서의 사실상 복귀작으로 발표된 앨범 『In The Key Of G』에도 가감 없는 앨범 평과 함께 복귀를 환영하는 마음을 전했다. 이때, 음악계 복귀를 북돋우는 화제 만들기 차원에서 오설리반이 기스기 작품을 커버하는 기획이 나왔지만, 이왕이면 신곡을 하자는 오설리반 본인의 의향에 따라 경작(공동 작업)이 실현되었다. 기스기 남매는 줄곧 자작자연으로 해온 오설리반이 자신들의 곡을 불러준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고 회고하며[25], 2010년 현재에도 오설리반의 발매곡 중 유일한 예외로 남아있다. 기스기는 과거에도 오설리반을 이미지하며 작곡한 적은 있었지만, 그것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써내려간 4곡 중에서 「What A Way (To Show I Love You) / 만나서 좋았어」가 선택되었다[57]. 이 곡은 오설리반의 일본반 앨범 『Sounds Of The Loop/그날의 나를 찾아서』에도 수록되었고, 같은 앨범에 수록된 「Can't Think Straight/너와 나의 러브송」(작사・작곡: 길버트 오설리반)에서는 듀엣도 실현, 더 나아가 TV 프로그램과 무대에서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약력」, 「콘서트 투어/스페셜 라이브」 참조). 특히 무대 공연에 대해서는 당초 관계자로부터 제안이 있었지만, 기스기는 오설리반의 무대를 관객으로서 즐기고 싶다는 생각에 거절했었다. 그러나 관람 후 오설리반의 대기실을 방문했을 때, 오설리반 본인으로부터 듀엣을 하고 싶다는 말을 듣고 불과 이틀 후 공연을 승낙했다고 한다[58]. 참고로 두 사람은 같은 해 9월 1일, 영국령의 저지섬에 있는 오설리반의 집에서 처음 만났다. 기스기는 동경하는 인물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바람은 없었고, 오히려 만나서 이미지가 깨질까 봐 불안했지만, 오설리반은 상상했던 그대로의 인품이었고, 그 소박한 생활 스타일도 상상과 다르지 않아서 좋았다고 한다. 기스기 에쓰코는 “두 사람은 괴짜끼리”라고 말한다[25]. 후년, 「Can't Think Straight」는 일본 국외에서는 기스기의 파트가 페기 리의 노래로 영어 가사로 대체되어 세계 발매된다.
1995년 7월 21일, 가수 데뷔 20주년 기념으로 도쿄 NHK홀에서 『20주년 스페셜 콘서트 얕은 꿈에서』를 개최했다. 이 무대의 일부는 영상 작품 『TAKAO KISUGI LIVE 얕은 꿈에서』에 수록되어 있다.
2000년 11월 10일, 가수 데뷔 25주년 기념 앨범 『Dear my company』를 발매했다. 오하시 준코, 나카모리 아키나, 야쿠시마루 히로코와의 듀엣에 더해, 작가진으로 이노우에 요스이, 이마와노 키요시로, 오자키 아미, 나가 로쿠스케, 유즈키 미유를 맞이하는 등 특별한 앨범이 되었다.
2001년, 『Stand Alone』이라는 제목의 피아노 탄주 콘서트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후 풀 밴드 편성과 함께 정례적인 스타일이 된다. 한편, 백 밴드 “스타틀” 멤버를 서포터로 맞이하는 솔로 무대도 『Stand Alone』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2005년, 가수 데뷔 30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30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05 avantage 아방타주』가 개최되었고, 12월 26일, 도쿄 나카노 선플라자에서 열린 『30th Anniversary X’mas Concert Tour 2005 avantage 아방타주』 무대는 영상 작품 『TAKAO KISUGI 30th Anniversary X'mas Concert 2005 avantage』에 수록되어 있다.
2010년 말, '키스기 타카오 35주년 스페셜 라이브 2010 Stand Alone Christmas Color'가 개최되었고, 다음 해인 2011년에는 가수 데뷔 35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키스기 타카오 35주년 콘서트 투어 2011 오로지'가 열렸다. 또한, 오리지널 앨범 '오로지'와 같은 제목의 콘서트 투어가 2011년에 시작되었다.
2011년 7월 1일, 가수 데뷔 35주년 기념으로 도쿄 산토리홀에서 '키스기 타카오 35주년 솔로 라이브 프리미엄 Stand Alone 2011'을 개최했다. 2010년 여름, 소속사 매니저 겸 사장으로부터 가수 데뷔 35주년이자 솔로 라이브 10주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산토리홀 공연을 제안받았다. 키스기는 처음에는 클래식 콘서트가 주를 이루는 이 홀에서 공연하는 것에 망설였지만, 일을 쉽게 승낙하는 성격 탓에 결국 공연을 하게 되었다. 또한, 공연을 수락한 것에 대한 불안과 후회로 공연 당일까지 매우 긴장했다고 한다.[59]
관련 에피소드
제공곡 및 커버곡
※개별 곡에 대해서는 키스기 타카오 관련 작품의 "제공곡", "커버곡"을 참조
2010년 1월 현재, 제공곡은 400곡을 넘어섰다. 제공 대상은 여성 가수가 많지만, 아이돌 계열(카와이 나오코, 사이토 유키, 니시무라 치토미, 나카모리 아키나, 미나미노 요코, 마츠다 세이코, 야마구치 모모에, 카시와바라 요시에 등), 싱어송라이터 계열(오구라 케이, 사다 마사시, 야시키 타카진 등), 가요곡 계열(이토 유카리, 사이고 테루히코, 타카하시 마리코, 후세 아키라 등), 엔카 계열(이츠키 히로시, 시마쿠라 치요코, 모리 신이치 등)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쿠라하시 루이코, 히라이 나미는 전곡이 키스기 타카오의 곡으로 이루어진 앨범을 발표했다.
"Goodbye Day", "꿈의 도중(세라복과 기관총)", "슬로 모션", "세컨드 러브" 등 많은 아티스트가 키스기 작품을 커버했으며, "Goodbye Day"의 경우 중국과 한국에도 모국어 버전의 커버가 여러 개 존재한다.
오카무라 타카코가 부른 "헤매는 듯한 천사"는 제공곡이 아닌 커버곡이다. 두 버전 모두 Honda "Today"의 CM에 사용되었지만, 오카무라 타카코 버전이 더 히트했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시이나 준페이와 시이나 링고 남매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키스기 타카오의 작품에 애착이 있는 듯하며, 함께 커버했다. (시이나 준페이는 "얕은 꿈"을 앨범에 녹음했고, 시이나 링고는 무대에서 "마이 럭셔리 나이트"를 선보였다.)
코사카이 카즈키는 키스기 타카오의 열렬한 팬임을 공언하며, 키스기 에츠코의 제안으로 데뷔곡 "with"(기획 앨범 'LABYRINTH II' 참조)를 비롯해 많은 곡을 제공받았고, 자신의 앨범 'with K'에서는 키스기와 듀엣을 하기도 했다. "with"는 라이브용 곡으로, 처음에는 발매 계획이 없었다고 한다.[60] 덧붙여 코사카이의 아내는 키스기 자신이 부른 이 곡을 듣고 "이렇게 좋은 노래였나"라는 감상을 말했다고 한다.[61] 곡을 제공할 때 코사카이는 "쉬운 곡을" 부탁했지만, 키스기는 들을수록 실력이 늘어갈 그라면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일부러 어려운 곡을 제공했다고 한다.[23]
제공곡 "모뉴먼트"를 부른 사와다 쇼코는 고등학생 때부터 키스기의 팬이었으며, 염원하던 곡이었다고 한다.
"Goodbye Day"를 커버한 JUJU는 원래 80년대 초 음악을 좋아했으며, 나카모리 아키나에게 곡을 제공하기도 한 키스기 타카오를 "훌륭한 작가"라고 평가했다. 만약 키스기가 엔카풍으로 바뀐 이 커버를 듣는다면 "깜짝 놀라실 것 같다"고도 말했다.[62]
토키토 아미의 앨범 '②좋아합니다…'를 프로듀스한 츤쿠는 수록곡 "사요코"를 만든 키스기 타카오를 "대단한 멜로디를 만들어내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63] 또한, 이 곡의 원래 제공 가수인 야마세 마미도 수록 앨범 'RIBBON'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이라고 잡지 인터뷰에서 답했다.
"세컨드 러브"를 커버한 토쿠나가 히데아키는 멜로디는 듣기 좋지만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은 음절 분배라 레코딩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64] 또한, "Yahoo! 라이브 토크"에서 가창에 어려움을 느낀 부분이 있어 "어떻게 불러야 할지 키스기 타카오 씨에게 물어보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GARNET CROW의 보컬 나카무라 유리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가요곡과 뉴 뮤직을 들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키스기의 독창적인 목소리였다고 한다.[65]
"실루엣 로맨스"를 커버한 적도 있는 히라이 켄은 자작곡 "사랑해"를 만들 때 쇼와 시대의 명곡을 만든 키스기 남매와 아쿠 유의 이름을 언급하며, 그 가사와 멜로디의 아름다움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의식했다고 말했다.[66]
제공곡 "another birthday"를 부른 마츠 타카코는 키스기가 데모 테이프에서 가볍게 허밍으로 불렀지만, 막상 자신이 부르니 매우 어려웠고, 또한 키스기에 대해서는 아름다운 일본어 가사를 부른다는 인상이 강했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가사를 써보고 싶었다고 한다.[67]
제공곡 "시간을 빛나게 해줘"를 부른 야가미 준코는 콘서트 MC에서 "남의 곡에는 트집을 잡고 싶지만, 기세가 있고 밝아서 솔직하게 좋아하게 되었다"고 말했다고 한다.[68]
기타
기쇼 팬임을 공언하는 고사카이 가즈키는 콘서트에도 발길을 옮기며, 공연장에 축하 화환을 보내기도 한다. 실연으로 우울해하고 있을 때, 친구의 추천으로 들은 첫 번째 앨범 『얕은 꿈』이 계기가 되어, 두 번째 앨범 『지그재그』는 스스로 구했다고 한다. 첫 번째 싱글 "얕은 꿈"과 『지그재그』 수록곡인 "달콤한 식탁", "마담과의 산책"에 대해 "영상적이고, 외국 영화 같은 내용의 가사로, 당시 이런 느낌의 노래는 다른 곳에 없었다"라는 감상을 밝혔다. 또한, "Goodbye Day"를 처음 들은 것도 위 친구를 통해서였다고 한다[21]. 두 사람의 첫 만남은 니혼테레비 계열 음악 프로그램 『NTV 홍백 가요 베스트텐』의 대기실에서, 데뷔한 지 얼마 안 된 기쇼가 화제곡 게스트로 출연했을 때, 당시 해당 프로그램의 프리쇼를 맡고 있던 고사카이가 팬임을 전했다. 스타들에게 둘러싸여 대기실에서 긴장하고 있던 기쇼는 "구원받은 기분이었다"라고 회고했다[21]. 또한, 고사카이에 따르면, 기쇼는 멋대로 무대에 올라온 여성 관객에게 "저, 당신의 아내예요"라고 쫓아온 적이 있었다고 한다[61].
후지테레비 계열 애니메이션 『미유키』에서는 "의혹", "하얀 수심", "언덕길의 천사", "즉, 사랑해", "관능 소녀", "Goodbye Day" 등이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후지테레비 계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웃어도 괜찮아!』의 『텔레폰 쇼킹』에서 타모리에게 "안색이 안 좋네요", "동네 공장 형이랑 얘기하는 것 같네" 등 놀림을 받았다. 이때, 기쇼는 고사카이 가즈키의 소개로 출연했으며, 마쓰토야 마사타카를 소개했다. 또한, TV 도쿄 계열 음악 프로그램 『타모리의 음악은 세계다』에 게스트 출연했을 때는, 타모리의 소속 사무소(다나베 에이전시) 사장 다나베 쇼치와 외모가 닮았다는 평을 받았다.
사쿠라 모모코는 예전에 친구들이 다른 아티스트의 콘서트에 가는 와중에 혼자 기쇼의 무대를 보러 가고, TV 출연도 꼼꼼히 챙겨볼 정도로 빼놓을 수 없는 뮤지션이었다고 말하며, 기쇼는 "이상적인 상사"의 모습이기도 했다고 회고했다[69]. 또한, 자신이 프로듀스한 앨범 『Sakura Classics Tabidachi Selection』, 『SAKURA CLASSICS White Selection』(기쇼 다카오 관련 작품 "커버곡" 참조)에는 모두 기쇼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2017년 11월, 작사는 사쿠라 모모코, 작곡은 기쇼가 맡고, 한 곡마다 다른 가수가 부른 7곡이 담긴 앨범 "One Week"가 발매되었다. 이 기획은 사쿠라가 7편의 시를 기쇼에게 보내 작곡을 의뢰한 것이다. 지금까지 두 사람은 전혀 면식이 없었기 때문에, 기쇼는 "왜 자신인가"라며 놀랐지만, 의뢰 편지의 "저는 35년 된 팬입니다"라는 말에 감동하여 수락했다. 사쿠라의 급서 직후인 2018년 9월 1일, 가나가와현민홀 라이브에서 기쇼는 이 에피소드를 밝힌 후, 이 앨범에서 2곡(1곡은 앙코르 마지막 곡)을 부르며 사쿠라를 추도했다.
스기타 카오루는 어렸을 때 "키스기타카오루"라고 불리며 놀림을 받은 적이 있었다고 한다[70].
만화 "캡틴 츠바사"의 등장 캐릭터인 "기쇼 데쓰헤이"는 작가 다카하시 요이치가 기쇼 다카오의 팬으로, 기쇼 다카오의 아들 이름을 빌렸다고 한다.
길버트 오설리반의 베스트 앨범 CD-BOX 『CARICATURE: THE BOX』(2004년 1월 1일)의 북클릿에는, 경작 싱글 "What A Way (To Show I Love You) / 만나서 다행이야"의 재킷 사진(오설리반 버전)이 게재되어 있으며, 기쇼 다카오에 관한 "a very famous and well-known aritist", "a Big fan of Gilbert"라는 기재도 볼 수 있다. 참고로 "What A Way (To Show I Love You) / 만나서 다행이야"의 음원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효고현 신온센정의 유무라 온천에 있는, 연예·문화인의 손도장을 많이 전시한 "후레아이 손도장 산책길"에는 기쇼의 손도장도 장식되어 있다(야나기 거리 위쪽, 온천교~번영교 구간).
2006년, 하야시 마스미 저/다카하시 유키하루·나가토미 도시카즈 편 『사형 판결은 "실루엣 로망스"를 들으면서 하야시 마스미 가족과의 서간집』(고단샤)이라는 제목의 서적이 간행되었다. 2009년 콘서트에서는 이 책을 MC 화제로 꺼낸 후, "실루엣 로망스"를 선보였다.
작품
약력
※콘서트·TV·라디오 출연은 주요한 것만 기재(콘서트 투어는 아래 "콘서트 투어/스페셜 라이브" 참조)
- 1950년
- 11월 16일: 도쿄 오모리에서 태어남.
- 1971년
- 이노우에 요스이의 첫 번째 앨범 『단절』에 통기타 담당으로 참여.
- 1972년
- 우연히 재킷이 마음에 들어서 산 길버트 오설리반의 싱글 "No Matter How I Try/안녕이라고 말할 수 없어"에 충격을 받음.
- 1974년
- 키티 레코드의 사원으로 경위 업무에 종사.
- 3월 21일: 가메부치 유카의 앨범 『Touch Me,Yuka』에, 자매 콤비의 손으로 만든 "취한 천사의 폴카"가 수록되어, 자매 모두 작가 데뷔.
- 1975년
- 써 두었던 곡 중에서 50곡을 선발하여, 데뷔 후보로 녹음.
- 1976년
- 9월 30일: 신주쿠 로프트의 오픈 기념 전야제에 출연.
- 10월 1일: 첫 번째 싱글 "얕은 꿈"으로 가수 데뷔.
- 10월 12일: 데뷔 콘서트(아오야마 타워홀)를 개최(첫 번째 곡은 "삽화-에피소드-").
- 10월 21일: 첫 번째 오리지널 앨범 『얕은 꿈』을 발매.
- 1977년
- 시부야 지앙지앙(한 달에 한 번, 40분 2회 솔로 무대)을 중심으로 콘서트 활동.
- 7월 1일: 싱글 "그을린 여름"을 발매.
- "마이 럭셔리 나이트"(가창: 시바타 하쓰미)가, 이름난 작곡가들의 작품 중에서 도요 공업(현 마쓰다)의 CM 곡으로 채택되어, 작곡가로서 주목받음.
- 10월 1일: 싱글 "장마-나가아메-"를 발매.
- 10월 21일: 오리지널 앨범 『지그재그』를 발매.
- 12월: 후지테레비 계열 음악 프로그램 『스타 작사 작곡 그랑프리』(사회: 이시자카 고지)에 출연하여, "별 달밤"(작사: 한분작)을 선보임(피아노/솔로 가창/그랑프리 대회에서 8위에 랭크인).
- 1978년
- 도쿄 도심이 중심이었던 콘서트 활동이, 간토 일원, 나고야, 교토로 확대됨.
- 8월 1일: 싱글 "붉은 머리 이웃" 발매 (오리지널 앨범 『얕은 꿈』에서 싱글 컷).
- 10월 1일: 싱글 "구석에 홀로" 발매.
- 11월 1일: 오리지널 앨범 『By My Side』 발매.
- 1979년
- 1월 15일 (방송): NHK-FM의 마츠토야 유미 스튜디오 라이브에 게스트 출연, "Corvet 1954" (키스기 타카오 관련 작품 "미수록곡" 참조)를 듀엣.
- 3월 (방송): FM 도쿄 『파이오니아 사운드 어프로치』에서 오자키 아미 스튜디오 라이브에 게스트 출연.
- 4월 21일: 싱글 "그리고, 한낮" 발매.
- 9월 27일: 본격적인 홀 콘서트 『파스텔 라이브』 (도쿄도・도쿄 후생 연금 회관 소홀) 개최. 공식 팬클럽 발족. 회보는, 키티 서클의 종합지 "BACK STAGE PASS"로 시작.
- 10월 9일: 결혼.
- 10월 21일: 싱글 "당신만 Good Night" 발매.
- 미우라 토모카즈 외 주연의 도호 영화 『황금의 파트너』 음악을 타카나카 마사요시와 함께 담당, 동 영화의 엔드롤에서 첫 영화 출연.
- 12월: 후지 TV 드라마 『날아간 커플』 음악 (H2O가 부른 주제가 "우리들의 다이어리" 포함) 담당.
- 12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Natural Menu』 발매.
- 1980년
- 4월: 첫 전국 콘서트 투어 개최.
- 6월 19일: 장남 탄생.
- 6월 21일: 싱글 "그저 노스탤지" 발매.
- 7월 1일: 오리지널 앨범 『AT RANDOM』 발매.
- 11월 1일: 기획 앨범 『키스기 타카오』 발매.
- 1981년
- 공식 팬클럽이, 키티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의 종합 팬클럽 "키티 서클" 내에서 "TAKAO CLUB"으로, 종합 회보가 "HEAD ROCK"으로 개칭.
- 2월 5일: 싱글 "어쨌든, 내일" 발매 (기획 앨범 『키스기 타카오』에서 싱글 컷).
- 5월 21일: 싱글 "Goodbye Day" 발매. 스매시 히트.
- 7월 21일: 오리지널 앨범 『Sparkle』 발매.
- 11월 10일: 싱글 "꿈의 도중" 발매. 경작 싱글 "세일러복과 기관총" (가창: 야쿠시마루 히로코)과 함께 대히트.
- 12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꿈의 도중』 발매.
- 1982년
- 4월 25일: 싱글 "기분은 역광선" (양 A면) 발매.
- 7월 21일: 모모이 카오리와 듀엣곡 『비뚤어진 하트로』 발매.
- 10월: 오하시 준코에게 제공한 "실루엣 로망스"로, 제2회 일본 작곡 대상 우수 작품상, 나카야마 신페이・사이조 야소 상을 키스기 에츠코와 함께 수상. 오리지널 싱글 "꿈의 도중"으로, 스카치 마스터링 어워드의 싱글 우수상, 오리지널 앨범 『꿈의 도중』으로 LP 우수상 수상.
- 11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유보도』 발매. JRN 계열 『사운드 스톰 Django』에서 "키스기 타카오 사운드 노스탤지"라는 제목의 회차 퍼스낼리티를 자매가 맡음.
- 12월 1일: 싱글 "의혹" 발매 (오리지널 앨범 『유보도』에서 싱글 컷).
- 1983년
- 3월 1일: 싱글 "말없는 밤" 발매.
- 4월 21일: 영상 작품 『키스기 타카오 라이브 Much more...』 발매.
- 5월: 마츠다 세이코 『'83 Spring Concert』 (도쿄도・도쿄 후생 연금 회관)에 게스트 출연, 제공곡 "SUNSET BEACH"를 듀엣 (피아노 담당). FM 도쿄 『GW 특별 기획 마츠다 세이코 더 콘서트』에서 생중계.
- 6월 4일: 첫 팬 모임을 교토부・쥬지야 포럼에서 개최 (참가 자격은, 쥬지야 및 효고현 내 레코드 가게에서 오리지널 앨범 『Ordinary』 예약 주문).
- 7월 1일: 싱글 "한숨의 나날" 발매.
- 7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Ordinary』 발매.
- 10월 4일: 차남 탄생.
- 10월 5일: 나카모리 아키나에게 제공한 "세컨드 러브"로, 제3회 일본 작곡 대상에서 대상 수상.
- 12월 1일: 기획 앨범 『Visitor』 발매.
- 1984년
- 3월 27일 (방송): 후지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웃어도 좋습니까!』 (『텔레폰 쇼킹』)에 생방송 출연.
- 7월 10일: 싱글 "살짝 MIDNIGHT" 발매.
- 8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ROMANTIC CINEMATIC』 발매.
- 9월 14일 - 10월 2일: 프랑스 파리에서 기획 앨범 『LABYRINTH』 녹음 진행.
- 11월 1일: 싱글 "하얀 래비린스 (방황)" 발매.
- 11월 23일・12월 2일: 폴 모리아의 제14회 일본 공연 『PAUL MAURIAT JAPAN TOUR 1984』 (도쿄도・NHK홀/오사카부・오사카 페스티벌 홀)에 게스트 출연. 오사카 공연의 "하얀 래비린스 (방황)"이 TBS 음악 프로그램 『더 베스트텐』에서 생중계.
- 12월 1일: 기획 앨범 『LABYRINTH』 발매.
- 1985년
- 3월 21일: 『PAUL MAURIAT JAPAN TOUR 1984』 (오사카부・오사카 페스티벌 홀) 게스트 출연 스테이지를 포함한 영상 작품 『LABYRINTH TAKAO KISUGI with PAUL MAURIAT』 발매.
- 9월 10일: 싱글 "헤매는 듯한 천사" 발매.
- 11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ONLY YESTERDAY』 발매.
- 1986년
- 4월 25일: 싱글 "내일은 맑을까" 발매.
- 6월 30일 - 7월 22일: 가수 데뷔 10주년 기획 콘서트 『키스기 타카오 10th ANNIVERSARY “ELEVEN NIGHT THEATER”』 (도쿄도・FM 도쿄 홀) 개최.
- 9월 25일: 싱글 "페어웰", 오리지널 앨범 『I Will...』 발매.
- 1987년
- 6월 7일: 『오구라 케이 콘서트 너를 노래하려 해』 (도쿄도・NHK홀)에 이노우에 요스이와 함께 게스트 출연. 오구라 케이의 곡 "조금은 나에게 사랑을 주세요"를 이노우에 요스이, 오구라 케이와 듀엣 (피아노 담당).
- 8월 (방송): TBS 계열 『퀴즈 더비』 방송 600회 기념으로, 문화인 가족의 한 팀으로 자매가 출연.
- 10월 25일: 싱글 "시간을 피워내서" 발매.
- 11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Étranger』 발매.
- 1988년
- 공식 팬클럽 회보 『égalité』 격월 발행 시작.
- 날짜 불명: 싱가포르에서 팬클럽 대상 이벤트 개최.
- 2월 13일 (방송): 『카야마 유조 쇼 경연! 키스기 타카오, 이와사키 히로미, 시마다 카호』에 게스트 출연. 자작곡(「꿈의 도중」〈Duet with 카야마 유조〉, 「시간을 피워내서」) 외에, 더 벤처스의 곡 「Pipeline」, 「Walk Don't Run」, 카야마 유조의 곡 「푸른 별 조각」을 일렉 기타로 세션 및 듀엣.
- 6월 21일: 후지 TV 개국 30주년 기념 도호 영화 『우준 ORACIÓN』의 이미지 송 「ORACIÓN -기도-」를, 동 영화의 주연 사이토 유키와 듀엣으로 발매.
- 7월 25일: 싱글 「ORACIÓN-기도-」를 발매 (솔로 버전).
- 8월 27일 (방송): 니혼테레비 계열 『24시간 TV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 11』에 게스트 출연. 동 프로그램을 위해 새로 쓴 테마곡 「Mail of love」(Duet with 도쿄소년소녀합창단)을 선보임.
- 9월 12일: 『키스기 타카오 With 풀 오케스트라 콘서트 STÉLLA』를 시작 (도쿄도・쇼와여자대학교 히토미 기념 강당을 시작으로 전국 5대 도시에서 개최).
- 11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With Time』을 발매.
- 1989년
- 날짜 불명: 괌에서 팬클럽 대상 이벤트 개최.
- 4월 12일: 싱글 「이야기하는 사랑에」를 발매 (오리지널 앨범 『With Time』에서 싱글컷).
- 6월 26일: 싱글 「Silent Memory」를 발매 (오리지널 앨범 『With Time』에서 싱글컷).
- 11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SOMETHING ELSE』를 발매.
- 1990년
- 6월 21일 (출발): 하와이에서 팬클럽 대상 이벤트 개최.
- 11월 28일: 싱글 「꿈보다 멀리」를 발매.
- 1991년
- 2월 22일 (방송): NHK 종합 음악 프로그램 『음악・꿈 컬렉션』의 “여자를 노래하는 키스기 메들리” 회에 출연하여, 「Goodbye Day」, 「꿈의 도중」, 「꿈보다 멀리」를 선보임. 출연자(시마다 카호, 시라키 미키코, 나카지마 케이코, 모리카와 유카리, 모리 쿠미코)가 키스기의 대표곡을 부름.
- 4월 25일: 오리지널 앨범 『영원한 순간』을 발매.
- 5월 23일: 가수 데뷔 15주년 기념 이벤트 『키스기 타카오 in 부도칸 어쿠스틱 스페셜』(도쿄도・일본무도관)을 개최. 영상 작품 『키스기 타카오 CONCERT TOUR ~영원한 순간~』을 발매.
- 7월 17일 - 22일: 하와이에서 팬클럽 대상 이벤트 개최.
- 10월 25일: 기획 앨범 『LABYRINTH II』, 길버트 오설리반과 경작한 싱글 「만나서 좋았어」(길버트 오설리반 버전의 타이틀은 「What A Way(To Show I Love You)」)를 발매.
- 10월 30일 (방송): 아사히 방송 『오하요 아사히데스』에 길버트 오설리반과 함께 출연.
- 12월 8일 (방송): NHK 종합 음악 프로그램 『밤에 고마워 꿈의 경연』에 길버트 오설리반과 함께 출연. 오설리반과의 듀엣곡 「Can't Think Straight/너와 나의 러브송」을 선보임 (피아노 담당).
- 1992년
- 날짜 불명: TV 도쿄 음악 프로그램 『타모리의 음악은 세계다』에 길버트 오설리반의 수행으로 출연 (오설리반은 경작곡 「What A Way(To Show I Love You)」를 선보임).
- 2월 26일: 길버트 오설리반의 첫 일본 공연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에 게스트 출연. 앙코르에서 「Can't Think Straight/너와 나의 러브송」을 선보임.
- 5월 27일: 싱글 「한숨 뒤에」를 발매.
- 7월 1일: 주식회사 베이직을 설립하고 독립.
- 11월 21일: 싱글 「사랑하는 시간에」를 발매.
- 1993년
- 7월 1일: 싱글 「두 사람의 장소」를 발매.
- 9월 26일: 영상 작품 『TAKAO KISUGI ACOUSTIC TRACKS』를 발매.
- 11월 26일: 오리지널 앨범 『Passage』를 발매.
- 1994년
- 6월 1일: 싱글 「부드러운 자극」을 발매.
- 11월 2일: 오리지널 앨범 『Another Story』를 발매.
- 12월 1일: 싱글 「영원한 서장」을 발매 (오리지널 앨범 『Another Story』에서 싱글컷).
- 1995년
- 6월 23일: 니혼테레비 음악 프로그램 『FAN』에 출연하여, 자작곡(「꿈의 도중」, 「얕은 꿈 20주년 기념 뉴 레코딩」) 외에, 길버트 오설리반과 「Clair」를 피아노 세션으로 듀엣.
- 7월 21일: 가수 데뷔 20주년 기념 콘서트 『20주년 스페셜 콘서트 얕은 꿈에서』(도쿄도・NHK홀)을 개최. 싱글 「얕은 꿈 20주년 기념 뉴 레코딩」, 기획 앨범 『키스기 타카오 SONGS』를 발매.
- 10월 25일: 영상 작품 『TAKAO KISUGI LIVE 얕은 꿈에서』를 발매.
- 1997년
- 키티 엔터프라이즈에서 일본 컬럼비아로 소속 레코드 회사를 이적.
- 1월 21일: 싱글 「메마른 계절」을 발매.
- 2월 21일: 오리지널 앨범 『Purity』를 발매.
- 6월 - 8월: 에르다 뮤지컬 『에르다 페어리 퍼포먼스 꿈에 입맞춤』(7개 도시 16회 공연)에 작곡가로서, 야스다 히로미, 키나 마사아키, 쿠도 츠카사와 함께 참가.
- 11월 1일: 기획 앨범 『꿈보다 멀리 -melodies & stories-』를 발매.
- 1998년
- 공식 팬클럽이 "TAKAO CLUB"에서 "키스기 타카오 인포메이션 데스크"로, 회보가 『égalité』(격월 발행)에서 『별책 키스기 타카오』(연 4회 발행)로 개칭.
- 1월 21일: 싱글 「어디까지나 사랑하는 마음」을 발매.
- 4월 1일: 싱글 「볼을 괸 행복」을 발매.
- 4월 3일 (방송): TBS 드라마 “사이몬 후미” 스페셜 『신・동거시대』에 “KASHIWAGI” 역 (대사 없음)으로 출연.
- 7월: 공식 팬클럽 회보 『별책 키스기 타카오』 발행 시작.
- 1999년
- 9월 24일: 이노우에 요스이의 시크릿 라이브 (도쿄도・스위트 바질 139)에 게스트 출연 (12월 26일에 NHK 종합에서, 12월 10일에 NHK-BS2에서 방송). 「실루엣 로망스」(피아노/솔로 가창), 이노우에 요스이의 곡 「소년시대」(피아노/가창: 이노우에 요스이)를 선보임.
- 10월 28일: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
- 2000년
- 일본 컬럼비아에서 키티MME로 소속 레코드 회사를 이적. 주식회사 심플렉스 뮤직으로 소속 사무소를 이적.
- 1월: 오피셜 팬클럽 회보 『별책 키스기 타카오』 발행 종료.
- 5월 15일 (방송): 간사이 TV・후지 TV 계열 『SMAP×SMAP』 내 코너 『SMA☆SMASH』에 게스트 출연. "꿈의 도중" (피아노/Duet with SMAP), "Goodbye Day" (피아노/Duet with SMAP), SMAP의 곡 "Let It Be" (피아노/Duet with SMAP)를 선보임.
- 10월 21일: 맥시 싱글 "지상의 스피드"를 발매.
- 11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Dear my company』를 발매.
- 2001년
- 『Stand Alone』이라는 제목의 자작곡 투어를 처음 개최.
- 2002년
- 9월 6일: 맥시 싱글 "Day by day"를 발매.
- 9월 1일 (방송): TV 도쿄 계열 음악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이 시작된다』에서 "꿈의 도중", "세일러복과 기관총"이 소개되었고, 남매 각각 인터뷰에 출연.
- 2003년
- 2월 15일 (방송): BS-i (BS-TBS) 『KISUGI TAKAO STUDIO CONCERT ~Day by day~』에서 전년도 콘서트 투어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2002』의 전체 세트리스트를 스튜디오 라이브로 전곡 선보임.
- 2004년
- 11월 17일: 오리지널 미니 앨범 『égalité』를 발매.
- 2005년
- 6월 10일 (방송): BS후지 음악 프로그램 『HIT SONG MAKERS 영광의 J-POP 전설』에 남매가 함께 출연.
- 10월 15일: 가수 데뷔 30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30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05 avantage 아방타주』를 시작 (12월 25일 종료).
- 10월 19일: 2장 세트 (CD+DVD) 오리지널 앨범 『avantage』를 발매.
- 12월 3일: 가수 데뷔 30주년 기념으로, 유년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사진을 배치한 우표 시트 (80엔 우표 10장/편지지 10장/봉투 5장)를 발매.
- 2006년
- 영상 작품 『TAKAO KISUGI 30th Anniversary X'mas Concert 2005 avantage』를 발매.
- 2008년
- 5월 31일・6월 1일: 『오구라 케이 트리뷰트 콘서트 ~꿈 노래 시, 있는 곳에~』에 게스트 출연. 플라잉 키티 밴드에 제공한 곡 "사랑의 발자국" (솔로 가창), 오구라 케이의 곡 "조금은 나에게 사랑을 주세요" (피아노/Duet with 오구라 케이), "남겨진 동경" (메들리 내 솔로 가창), "안녕 청춘" (출연자 전원 합창)을 선보임.
- 6월 25일: 기획 앨범 (첫 라이브 앨범) 『Try to remember』를 발매.
- 12월 10일: 오리지널 앨범 『여운』을 발매.
- 첫 손주가 탄생[37].
- 2010년
- 7월: 가수 데뷔 35주년 기념 앨범을 위해, 오피셜 홈페이지와 콘서트장에서 수록곡 리퀘스트를 모집 (~7월 31일)
- 11월 17일: 오피셜 홈페이지가 리뉴얼 (및, 아래 새 앨범 발매 발표).
- 11월 30일: "TEN YEARS" 메일 회원에게 "키스기 타카오 Information" 배포 시작.
- 12월 12일: 오리지널 앨범 『오로지』를 "http://tenyears.shop-pro.jp/"에서 선행 발매.
- 2011년
- 2월 23일: 오리지널 앨범 『오로지』를 일반 발매.
- 3월 5일: 가수 데뷔 35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키스기 타카오 35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11 오로지』를 시작.
콘서트 투어/스페셜 라이브
※ 굵은 글씨는 메인 투어, *는 다른 아티스트와의 합동 무대
- 1976년
- 9월 30일: 신주쿠 로프트 오픈 기념 전야제 (도쿄도・신주쿠 로프트)
- 10월 12일: 데뷔 콘서트 (도쿄도・아오야마 타워 홀)
- 10월 23일: 데뷔 앨범 발매 기념 콘서트 (도쿄도・시모키타자와 로프트)
- 11월 26일: 공연명 불명 (도쿄도・시모키타자와 로프트)
- 12월 5일: 매거진 시티 콘서트 (도쿄도・우편저금 홀/출연: 후루이도, 쇼노 마요 외) *
- 1977년
- 7월 29일: GREEN GREEN MUSIC FESTIVAL (지바현・마더 목장/출연: 이즈미야 시게루, 야마시타 타츠로, 요시다 미나코) *[71]
- 1978년
- 5월 12일: 이시카와 세리와의 조인트 콘서트 (도쿄도・조후 그린 홀)
- 11월 2일: 히로시마 포크 마을과 유쾌한 동료 콘서트 (히로시마현・히타치 패밀리 홀/출연: 우메 (다나카 마사히코), 가터후 패밀리 밴드 유쾌한 동료) *
- 1979년
- 4월 25일: 3rd Trial (장소 불명)
- 9월 27일: 파스텔 라이브 (도쿄도・도쿄 후생 연금 회관 소홀)
- 1980년
- 4월 - : 첫 전국 콘서트 투어 (장소 불명 - )
- 7월 21일: 고바야시 미치히로와의 조인트 콘서트 (도쿄도・우편저금 홀)
- 9월 - : 가을 콘서트 투어 (장소 불명 - )
- 10월 4일: Kitty Festival 1 Flying Kitty Party '80 (도쿄도・히비야 야외 음악당/출연: 다카나카 마사요시, 우에다 마사키, 도요시마 다즈미, 랍비, 하쿠류) *
- 1981년
- 5월 1일 - : 콘서트 투어 (장소 불명 - )
- 1982년
- 3월 16일 - : Concert Tour '82 꿈의 도중… (아이치현・나고야 중소기업 센터 - /34회 공연)
- 7월 4일: 뉴 뮤직 웨이브 '82 (도쿄도・히비야 야외 음악당/출연: 웰컴, VIRGIN VS, H2O, 가와구치 마사요, 고바야시 미치히로, 시오리, Sugar, 쇼노 마요, 블러디 메리, 로브 버드, 야마모토 타츠히코, 야마모토 코타로〈사회〉) *[72]
- 9월 4일: 실루엣 로맨스 콘서트 (도쿄도・히비야 공회당)
- 9월 18일: 공연명 불명 (도쿄도・마치다 시민회관/출연: 이와사키 요시미?)
- 9월 24일 - : 콘서트 투어 '82 Much More... (가나가와현・가나가와현민홀 - /49회 공연・9만 명 동원)[73]
- 1983년
- 5월: 마츠다 세이코 '83 Spring Concert (도쿄도・후생연금회관/출연: 마츠다 세이코, 스기 마사미치)*[74]
- 5월 26일 - : 콘서트 투어 '83 미디엄 기분으로… (장소 불명 - /75회 공연・15만 명 동원)
- 7월 1일・2일: 공연명 불명 (도쿄도・NHK홀)
- 1984년
- 5월 28일 - : 콘서트 투어 '84 Romantic Cinematic (가나가와현・가나가와현민홀 - /60회 공연・12만 명 동원)
- 11월 23일・12월 2일: 폴 모리아 내한 공연 'PAUL MAURIAT JAPAN TOUR 1984' (도쿄도・NHK홀/오사카부・오사카 페스티벌 홀)*[75]
- 12월 24일: 아지노모토 스페셜 키스기 타카오 위드 나고야 시티 관현악단 (아이치현・나고야시 공회당)
- 1985년
- 6월 24일・30일: Night Visitor 콘서트 (도쿄도・도쿄 후생연금회관/가나가와현・가나가와현민홀/출연: 키스기 타카오 & 히즈 오케스트라)[76]
- 8월 17일: 제16회 신일본 필 가루이자와 음악제 (나가노현・가루이자와 프린스 호텔 세이잔칸 야외 스테이지/출연: 야마모토 나오즈미, 신일본 필하모니 교향악단)[77]
- 9월 3일 - : 콘서트 투어 '85 Only Yesterday (도쿄도・무사시노 시민 문화회관 - /44회 공연)
- 9월 16일: 과학 엑스포 폐막 파티 (장소 불명)
- 10월 30일: 혼다 사운드 카고 투데이 라이브 (가나가와현・요코하마 프린스 호텔)[78]
- 12월 23일: 요코하마 크리스마스 공연 (가나가와현・장소 불명)
- 1986년
- 2월 28일: 전일본공수 스카이 홀리데이 스페셜 (홋카이도・삿포로 후생연금회관/출연: 야마가타 유미)
- 4월 11일: 공연명 불명 (사이타마현・우라와시 문화센터/사이타마 서클 추진 연합회 주최)
- 날짜 불명 - : 콘서트 투어 '86 I Will… (장소 불명 - )
- 6월 30일 - 7월 22일: 키스기 타카오 10th ANNIVERSARY “ELEVEN NIGHT THEATER” (도쿄도・FM도쿄홀/게스트: 키스기 에츠코)
- 8월 23일: 브라이덜 쇼 (기후현・기후 문화센터)*
- 9월 14일: 예비 엄마 콘서트 (장소 불명)*[79]
- 1987년
- 6월 7일: 오구라 케이 콘서트 너를 노래하려 해 (도쿄도・NHK홀/출연: 오구라 케이, 이노우에 요스이)*[80]
- 8월 6일: 여름 나가사키에서 사다 마사시 (나가사키현・나가사키 시영 럭비・축구장/출연: 사다 마사시, 무라시타 코조, 백조좌, 요시다 마사미〈전 그레이프〉)*[81]
- 8월 31일: KAC 팬 감사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출연: 시마즈 사에코, 스기야마 카즈코, 치바 시게루, 시마모토 스미, 아오키 카즈요, 피카소, 미나미 쇼코, 마츠나가 나츠요코, 나리키요 카나코, 무라시타 코조)
- 10월 24일: 제37회 나고야 여자대학교 대학 축제 (아이치현・나고야시 공회당)*
- 12월 - : 콘서트 투어 '87~'88 Étranger (장소 불명 - )
- 12월 21일: 피카소 콘서트 (도쿄도・TOKYO FM홀)
- 1988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8월 - : 불의 나라 축제 (구마모토현・장소 불명)*
- 9월 12일 - : 키스기 타카오 With 풀 오케스트라 콘서트 STÉLLA (도쿄도・쇼와 여자대학교 히토미 기념 강당 - /5회 공연)[82]
- 날짜 불명 - : 콘서트 투어 '88~'89 With Time (장소 불명 - )
- 12월 24일・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89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7월 15일: CLUB NIGHT page 1 (가나가와현・클럽 치타 가와사키)
- 12월 3일 - : 콘서트 투어 '89~'90 Something Else (이시카와현・이시카와 후생연금회관 - )
- 11월 1일: CONCERT IN YAHATA With Time (후쿠오카현・장소 불명)
- 11월 3일: 행복의 마을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효고현・행복의 마을)
- 12월 20일: 키스기 타카오 레이트 쇼 나이트 (도쿄도・닛신식품 도쿄 본사 빌딩 닛신 파워 스테이션)[83]
- 12월 24일・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0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3월 - : TOKYU MUSIC PLAZA (도쿄도・장소 불명 - /5회 공연/출연: 카와이 나오코)*
- 4월 21일: MERMAID DREAM WITH KISUGI TAKAO (미에현・호텔 도바 코와쿠엔 야외 스테이지)[84]
- 6월 23일: 팬클럽 집회 ()
- 8월 5일: 공연명 불명 (도야마현・장소 불명)
- 8월 11일: 제3회 신슈 사쿠 음악제 (나가노현・사쿠시 고마바 공원/출연: 군마 교향악단, 코히루이마키 카호루, 소노다 켄이치와 딕시 킹 라구나 베르데, 나미카와 에이타)*
- 8월 31일: 오타시 야외 콘서트 (군마현・장소 불명)
- 날짜 불명 - :콘서트 투어 '90~'91 영원한 순간 THE MOMENT (장소 불명 - )
- 12월 24일, 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85]
- 1991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3월: 공연명 불명 (니가타현・조에쓰 문화회관)
- 4월 29일: 클래식 베스트 앨범 콘서트 (도쿄도・파르테논 다마/with 오케스트라)
- 날짜 불명: NEC 나이트 페스티벌 (도쿄도・히비야 시티/출연: 야나기 조지, 마이클 도미오카〈사회〉)*[86]
- 날짜 불명: 세계 도예제 세라믹 월드 시가라키 '91 도예 콘서트 (시가현・장소 불명/출연: 야마모토 나오즈미, 간사이 필하모니 관현악단)*
- 5월 23일: 15주년 기념 이벤트・기쇼 다카오 in 부도칸 어쿠스틱 스페셜 (도쿄도・일본무도관/ with 가나가와 필하모니 관현악단)
- 7월 5일, 6일, 7일: AMLUX PARTY (도쿄도・암락스 도쿄/게스트: 기쇼 에쓰코)
- 8월 2일: 비와호 물 축제 SAVE The EARTH, SAVE The LAKE '91 (시가현・야바세 기호섬 특설 스테이지/출연: 조지 가와구치, NewBig4+1, 사리나 존스, 와타나베 사다오 그룹)*[87]
- 8월 8일: YODO SUMMER CARNIVAL 기쇼 다카오 트와일라잇 서머 콘서트 (교토부・JRA교토 경마장 스탠드 앞 특설 스테이지)
- 9월?일, 19일: Autumn Mind (후쿠오카현・구루메 시민회관)
- 10월 26일: 기쇼 다카오・라이브&토크 (도쿄도・야마노 악기 긴자점)
- 날짜 불명 - :기쇼 다카오 Since 1976 Concert Tour FROM NOW (장소 불명 - )
- 11월 11일: LOVE&MUSIC (효고현・고베 국제회관)*
- 12월 24일, 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2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2월 26일: 길버트 오설리반의 일본 공연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7월 24일: 기쇼 다카오 디너쇼 (아이치현・호텔 캐슬 플라자 봉황의 방)
- 8월 1일: 하이퍼 스무살 '92 도요아케시 제정 20주년 기념 기쇼 다카오 콘서트 (아이치현・JRA 주쿄 경마장 특설 스테이지)
- 9월 12일: 클로즈드 이벤트 (시즈오카현・고텐바 시민회관)
- 9월 26일: 기쇼 다카오 WITH ORCHESTRA CLASSIC ALBUM CONCERT (사이타마현・오미야 소닉 시티)
- 11월 28일 - :콘서트 투어 '92~'93 BASIC (지바현・시바야마 문화센터 - /44회 공연・4.7만 명 동원)
- 12월 24일, 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3년
- 2월: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3월 27일: 1만 명의 졸업 파티 (오사카부・오사카성 홀/출연: 제임스 미키, 가자마 도오루 외)*
- 7월 10일: 호텔 헤리티지 디너쇼 (사이타마현・호텔 헤리티지 오로라 홀/2회 스테이지)
- 7월 23일, 24일: Acoustic Tracks (도쿄도・분카무라 오차드 홀)[88]
- 7월 31일: 지치부 뮤즈 콘서트 (사이타마현・지치부 뮤즈 파크 야외 스테이지/출연: 가세 구니히코와 더 와일드 원즈, COCO)
- 8월 15일: 신슈 박람회 후요 뮤직 샐러드 기쇼 다카오 콘서트 (나가노현・마쓰모토시 마쓰모토다이라 광역공원 녹지)*
- 9월 5일: 파르세 이자카 1주년 기념 콘서트 (후쿠시마현・파르세 이자카)
- 10월 3일 - : Autumn Concert (사이타마현・이루마시 시민회관 - /3회 공연)
- 11월 18일 - :콘서트 투어 '94~'95 Passage (도쿄도・파르테논 다마 - /40회 공연)[89]
- 12월 24일, 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4년
- 2월 12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6월 10일: TAKAO CLUB 팬 모임 (야마나시현・리조나레 음악의 숲 홀)
- 7월 16일, 17일: Acoustic Tracks 2 (도쿄도・분카무라 오차드 홀)
- 9월 14일: CORONA SPECIAL CONCERT '94 (니가타현・현앙 지역 지바산업진흥센터)
- 9월 25일: 기쇼 다카오 파이널 리조트 콘서트 (와카야마현・와카야마 마리나 시티)
- 10월 2일: 공연명 불명 (지바현・마쓰도 시민회관/완전 초대제 추첨으로 950팀)
- 10월 15일: 공연명 불명 (지바현・조시시 청소년 문화센터/완전 초대제 추첨으로 600팀)
- 10월 31일: 공연명 불명 (도쿄도・다마가와 다카시마야 별관 아레나 홀)
- 10월 9일: 다카야마 단대 축제 (고치현・다카야마 단기대학 문화기념강당)
- 10월 23일: 고치 의과대학 남풍제 (고치현・고치 의과대학 체육관)
- 10월 26일: 기류 단기대학 시라기쿠제 (군마현・가사카케노 문화홀 “파루”)
- 11월 11일: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미온제 (도쿄도・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미온강당)
- 11월 23일 - :콘서트 투어 '94~'95 Another Story (이바라키현・가미스마치 문화센터 - /26회 공연)
- 12월 24일, 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5년
- 2월 10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5월 12일 - 14일: TAKAO CLUB PARTY in 고텐바 (시즈오카현・장소 불명)
- 5월 25일, 26일: JRA 주최 이벤트 (미야기현・센다이 선플라자 홀/후쿠시마현・후쿠시마현 문화센터)
- 7월 21일: 기쇼 다카오 20주년 Special Concert 베스트 셀렉션 얕은 꿈에서 (도쿄도・NHK홀)[90]
- 8월 5일: 공연명 불명 (도쿄도・다케시바 뉴피어 홀)
- 9월 8일: 키스기 타카오 with 오케스트라(도치기현・나스노가하라 하모니 홀/with 도쿄 뉴 필하모닉 관현악단)
- 12월 3일 - : 20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95~'96 꿈보다 멀리 (장소 미정 - )
- 12월 19일: 공연명 미정 (오사카부・선루트 세토대교)
- 12월 24일・25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6년
- 2월 10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7월 6일 - : 어쿠스틱 트랙스 (효고현・치킨 조지 - /5회 공연)
- 7월 23일: 세계 불의 박람회 (사가현・아리타정 박람회장 이벤트 광장)
- 7월 28일: 전국 숲과 호수를 즐기는 모임 '96 샤쿠나게 호수 페스티벌 숲과 호수를 즐기는 콘서트 (니가타현・무이카마치 미쿠니가와 댐 야외 특설 스테이지/출연: 자이츠 가즈오, 와타나베 마치코 외) *
- 8월: 공연명 미정 (지바현・역 빌딩〈장소 미정〉)
- 8월: 공연명 미정 (나가노현・노자와 온천〈장소 미정〉)
- 9월 7일: 공연명 미정 (후쿠시마현・쇼와무라 공민관)
- 9월 20일: 공연명 미정 (가나가와현・가마쿠라 예술관)
- 9월 22일: 조몬 축제 (후쿠이현・미카타정 야외 특설 스테이지)
- 9월 29일: 공연명 미정 (지바현・아비코 시민회관)
- 10월: 공연명 미정 (가나가와현・간나이 홀)
- 10월: 공연명 미정 (도쿄도・오메〈장소 미정〉)
- 10월: 도카이 여자대학교 학원제 (기후현・장소 미정)
- 11월 3일: 쇼레이 축제 키스기 타카오 AIDS 자선 콘서트 (미에현・마쓰사카 대학 대체육관)
- 11월: 마쓰사카 대학 학원제 (미에현・장소 미정)
- 11월 16일: 공연명 미정 (오사카부・조루리 시어터)
- 11월 20일: 공연명 미정 (홋카이도・문화센터 사자나미)
- 11월 30일: 오카지마 디너쇼 키스기 타카오 (나가노현・벨비아 오카지마 로열회관)
- 12월 24일: 하트풀 디너쇼 키스기 타카오의 로맨틱 이브 (나가사키현・하우스텐보스 유럽 호텔 나가사키 렘브란트 홀)
- 12월 25일: 키스기 타카오 인 크리스마스 (도쿄도・긴자 도큐 호텔/2회 스테이지)
- 1997년
- 1월 18일: 어쿠스틱 콘서트 (사이타마현・사야마시 시민회관 대홀)
- 2월 8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2월: 아시아 음악제 (오키나와현・장소 미정) *
- 2월 22일 - : 콘서트 투어 '97 Purity (도치기현・노기마치 문화회관〈에니스 홀〉/24회 공연)
- 5월 31일: KOBE NIGHT (효고현・신코베 오리엔탈 극장)
- 7월 26일: 공연명 미정 (효고현・에르데 홀)
- 7월 27일: 공연명 미정 (효고현・유메 홀)
- 8월 8일: 혼베쓰 옥수수 3만 평 미로 오픈 전야제 콘 라이브 '97 (홋카이도・옥수수 3만 평 미로 특설 스테이지)
- 8월 22일: 공연명 미정 (아오모리현・일본해 거점관)
- 9월 18일: 키스기 타카오 LIVE 그리고 은은하게 여름은 가고/제1야 WONDER NIGHT (도쿄도・닛신식품 도쿄 본사 빌딩 닛신 파워 스테이션)
- 9월 26일: 키스기 타카오 LIVE 그리고 은은하게 여름은 가고/제2야 SLOW NIGHT (도쿄도・닛신식품 도쿄 본사 빌딩 닛신 파워 스테이션)
- 11월 6일: 공연명 미정 (후쿠시마현・다나구라초 문화센터 구라미칸)
- 11월 8일: 어쿠스틱 콘서트 (아키타현・센난무라 공민관)
- 11월 16일: 신조 종합공원 야외 음악당 오프닝 기념 이벤트 (와카야마현・신조 종합공원 야외 음악당)
- 11월 28일: '97 야마나시 와인 콘서트 (야마나시현・야마나시현립 현민문화홀 소홀)
- 12월 12일: LIVE LIVE 1997 ACOUSTIC NIGHTS (군마현・그린돔 마에바시 서브 이벤트 에리어)
- 12월 17일: 공연명 미정 (미야기현・센다이 제2워싱턴 호텔 레인보우 홀)
- 12월 24일: 키스기 타카오 인 크리스마스 (도쿄도・긴자 도큐 호텔)
- 1998년
- 1월 30일: 휴머니티 오사카 연극과 라이브 키스기 타카오 LIVE (오사카부・오사카 산케이 홀/제2부)
- 2월 14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2월 28일・3월 28일: 콘서트 '98 따스함을 찾아서 (도쿄도・티아라 고토/오사카부・우메다 HEAT BEAT)
- 3월 21일: 98 핫케이지마 연금 페스티벌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핫케이지마 씨 파라다이스)
- 6월 27일: 콘서트 '98 Memory Melody (도쿄도・시부야 공회당)
- 8월 2일: 제9회 아즈미노 이케다 음악제 (나가노현・이케다정립 미술관 야외 스테이지/출연: 니시다 히카루) *
- 8월 8일: 키스기 타카오 선셋 드림 (가나가와현・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10월 9일: 시크릿 라이브 (사가현・이마리 문화홀/출연: 파파스)
- 11월 28일: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미야기현・이와데야마초 문화회관)
- 12월 14일: 마을 만들기 콘서트 (도쿄도・호야 코모레비 홀)
- 12월 26일: 1998 YEAR-END CONCERT 시간이여 천천히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
- 1999년
- 2월 6일: 발렌타인 크리스탈 나이트 (지바현・도쿄 베이 힐튼/세존 카드 회원 대상)
- 2월 13일 - : 콘서트 투어 '99 Picturesque Melody (지바현・이치하라시 시민회관 - )
- 7월 31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9월 4일: 이이데 메자미노사토 축제 '99 전야제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야마가타현・이이데초 정민종합센터 아~스 다목적 홀)
- 9월 24일: 이노우에 요스이의 시크릿 라이브 (도쿄도・스위트 바질 139/출연: 이마와노 키요시로, 오쿠다 다미오) *[91]
- 11월 23일: 세이비 교육문화회관 준공 2주년 기념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도쿄도・세이비 교육문화회관 세이비 그린홀)
- 12월 14일: 공연명 미정
- 12월 23일: 스페셜 콘서트 1999 Made In X'mas (도쿄도・나카노 선플라자)[92]
- 2000년
- 2월 9일: 세존 클럽 ORIGINAL TOUR 키스기 타카오 칵테일 미니 콘서트 (홋카이도・힐튼 오타루/세존 카드 회원 대상)
- 3월 4일: 가쓰누마 천공 페스타 (야마나시현・포도의 언덕 홀)
- 3월 18일: Takao Kisugi Concert (히로시마현・지미 카터 시빅 센터)
- 6월 30일: 히라마쓰 아이리 키스기 타카오 조인트 콘서트 (군마현・메이와초 후루사토 산업문화관)
- 7월 2일: 기스기 다카오 콘서트 어쿠스틱 버전 (나가노현 고우미마치 음악당 야루비 홀 -/2회 공연)
- 7월 8일: 공연명 미상 (이바라키현 유유 주오 J홀)
- 7월 16일: 아오모리현 도와다호 호수 축제 2000 (아오모리현 도와다호) *
- 7월 18일: 기스기 다카오 스페셜 라이브 (도쿄도 스위트 바질 139)
- 7월 29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8월 10일: 일본해 석양 콘서트 (니가타현 니가타시 아오야마 해안 특설 무대/출연: 핫토리 가쓰히사와 음악밭 오케스트라, 이와사키 히로미, 미나미 고세쓰, 서커스, 니가타시 주니어 합창단) *[93]
- 8월 20일: 이치리노 음악제 (이시카와현 이치리노 온천 스키장 야외 무대/출연: 미나미 요시타카, 이시카와 세리, 오자키 아미, 야마나시 료헤이) *
- 10월 7일: 달맞이 저녁 기스기 다카오 문라이트 콘서트 2000 (아이치현 가리야시 스하라 공원 특설 무대)
- 10월 14일: 헤이세이 12년도 음악 감상의 모임 기스기 다카오 콘서트 (이바라키현 교와마치 체육관)
- 10월 21일 - : 25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2000 Dear My Company (가나가와현 하다노시 문화회관 - /12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12월 17일: 스페셜 라이브 & 악수회 (도쿄 긴자 야마노 악기 본점 이벤트 스페이스 JAM SPOT)
- 12월 22일 - : 25주년 기념 콘서트 투어 2000 Dear My Company 크리스마스 공연 (히로시마현 아스테르 플라자 대홀/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예술홀/도야마현 도야마현민회관)
- 2001년
- 1월 19일: 뉴이어 뷔페 & 쇼 (지바현 신우라야스 오리엔탈 호텔)
- 2월 11일: 도코모 도쿠모리 캠페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관광회관)
- 2월 24일: 마시키마치 문화회관 자주 사업 콘서트 (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문화회관)
- 3월 2일 - : 25주년 기념 스페셜 콘서트 어쿠스틱 트랙 버전 2001 (사이타마현 오미야 소닉 시티 - /7회 공연)
- 3월 16일: 히라마쓰 아이리 기스기 다카오 조인트 콘서트 (지바현 다코마치 커뮤니티 플라자 문화홀)
- 3월 23일 - 25일: 도리시마 주유 알바트로스 워칭 크루즈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발착, '후지마루' 선상)
- 날짜 미상: 기스기 다카오 & 오케스트라 앙상블 가나자와 팝스 로맨틱 콘서트 (이시카와현, 장소 미상)
- 7월 15일: 기스기 다카오 CONCERT 2001 어쿠스틱 트랙 Vol.II (도쿄도 SHIBUYA-AX)
- 7월 28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9월 20일 - :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미야기현 센다이 비프 베이스먼트 시어터 - /7회 공연)
- 10월 13일: TAKAO KISUGI CONCERT Twilight Glow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호텔 뉴 그랜드 레인보우 볼룸/게스트: 야마나시 료헤이)[94]
- 11월 22일: 공연명 미상 (가나가와현 평생학습센터/일반 입장 불가)
- 11월 24일: 공연명 미상 (구마모토현 스에무라 문화센터)
- 12월 15일, 22일, 24일: 기스기 다카오 크리스마스 콘서트 2001 Touch of Tomorrow (가나가와현 하모니 홀 자마/도쿄도 나카노 선플라자/오사카부 후생연금회관 예술홀)
- 2002년
- 2월 16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후쿠이 (후쿠이현 하모니 홀 후쿠이 대홀)
- 2월 22일 - : 어쿠스틱 콘서트 2002 (후쿠오카현 사잔쿠스 지쿠고 소홀 - 4회 공연)
- 3월 1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구로이소 (도치기현 구로이소시 문화회관 대홀)
- 3월 8일: 쇼노 마요와 조인트 콘서트 (야마나시현 스코레 센터)
- 7월 7일: 마쓰다 마사토 피아노 솔로 라이브 마음 가는 대로 (사이타마현 Ad-lib) *
- 7월 27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9월 6일 - : 기스기 다카오 콘서트 2002 (사이타마현 고노스시 문화센터 <클레아 고노스> - /7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11월 2일 - : 기스기 다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2002 Day by day (도쿄도 세이비 교육 문화회관 - /3회 공연)
- 11월 26일 - : 솔로 콘서트 2002 Day by day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문화회관 소홀 - /4회 공연)
- 12월 19일, 21일: 기스기 다카오 크리스마스 콘서트 2002 Day by day (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소홀/도쿄도 나카노 선플라자)
- 2003년
- 2월 23일: 마쓰다 마사토 피아노 솔로 라이브 (사이타마현 Ad-lib) *
- 6월 4일 - : 기스기 다카오 트리오 라이브 어쿠스틱 트랙 2003 (도쿄도 마치다 시민홀 - /3회 공연)
- 6월 14일 - : 기스기 다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3 (오사카부 더 피닉스 홀 - /7회 공연)
- 7월 26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연회장 시치리가하마)
- 8월 27일: 호텔 아오모리 디너쇼 (아오모리현 호텔 아오모리)
- 9월 21일: 가나자와 교직원 조합 콘서트 (이시카와현 문교회관)
- 9월 25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요코하마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홀 대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제이크 시마부쿠로, 가루베 신이치) *
- 9월 26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야마가타 가을을 수놓는 음악들 (야마가타현 야마가타 시민회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가루베 신이치 외) *
- 11월 7일: 기스기 다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후쿠시마현 다테마치 후루사토 회관 MDD홀)
- 12월 7일: 호텔 리치 사카타 디너쇼 (야마가타현 호텔 리치 사카타)
- 12월 13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Fuji (시즈오카현 후지 로제 시어터 대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가루베 신이치 외) *
- 12월 19일, 24일, 25일: 2003년 기스기 다카오 크리스마스 콘서트 (오사카부 오사카 리사이틀 홀/도쿄도 도쿄예술극장 중홀)
- 2004년
- 1월 9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모리오카 (이와테현 모리오카 시민문화홀 대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가루베 신이치 외) *
- 1월 11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다카오카 (도야마현 다카오카 시민회관 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가루베 신이치 외) *
- 1월 25일: 니시도쿄시 합병 3주년 기념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도쿄도, 호야 코모레비 홀)
- 2월 6일: 키스기 타카오 스페셜 살롱 라이브 (교체제 2스테이지 각 40명 한정/도쿄도, 미나미아오야마 GARGERY HOUSE)
- 2월 28일: 아사히 신문 창간 125주년 교토 신공장 탄생 특별 기획 키스기 타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교토부, 교토 산업회관 실크홀)
- 4월 24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4 (지바현, 교토쿠 문화홀 I&I - /4회 공연)
- 5월 3일: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 뷔페 디너쇼 STREET CLUB ZONE Special Acoustic concert 2004 (도쿄도, 그랜드 프린스 호텔 아카사카 신관 크리스탈 팰리스)
- 5월 9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가나자와 (이시카와현, 이시카와현립 음악당 콘서트홀)
- 7월 24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뱅킷홀 시치리가하마)
- 9월 25일: 키스기 타카오 CONCERT 2004 in Autumn (사이타마현, 기타모토시 문화센터 홀)
- 10월 8일, 9일: 어쿠스틱 콘서트 2004 (가나가와현, 모리노 홀 하시모토/도치기현, 구로바네마치 문화복합센터)
- 10월 24일: 후레아이·도키메키 니시미카와 페스티벌 2004 in 안조 (아이치현, 안조 학원 고등학교 체육관) *
- 12월 16일, 18일: 크리스마스 콘서트 2004 égalité (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예술홀/도쿄도, 나카노 선플라자)
- 2005년
- 1월 13일: 미니 라이브 & 악수회 (도쿄도, 긴자 야마노 악기 본점 이벤트 스페이스 JamSpot)
- 1월 15일, 2월 8일, 19일: 키스기 타카오 Acoustic Concert 2005 (도치기현, 우쓰노미야 그랜드 호텔/가나가와현, 로즈 호텔 요코하마/효고현, 아사고·사사유리 홀)
- 2월 20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사가 (사가현, 사가시 문화회관 대홀/출연: 다카시마 치사코, 가루베 신이치 외) *
- 3월 12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5 (나가사키현, 나가사키 문화 방송 - /5회 공연)
- 7월 23일: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서머 디너쇼 SUNSET DREAM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프린스 호텔 뱅킷홀 시치리가하마)
- 9월 11일: 키스기 타카오 라이브 2005 (오사카부, 마쓰바라시 문화회관)
- 10월 15일 - : 30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05 avantage 아방타주 (시즈오카현, 고텐바 시민회관 - /9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12월 17일: 제24회 후지사와시 후레아이 스테이지 키스기 타카오 Concert (가나가와현, 후지사와 시민회관 대홀)
- 12월 9일, 23일, 24일, 26일: 30th Anniversary X'mas Concert Tour 2005 avantage 아방타주 (가나가와현, 가나가와현민홀/아이치현, Zepp Nagoya/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예술홀/도쿄도, 나카노 선플라자)[95]
- 2006년
- 1월 14일: 미니 라이브 & 악수회 (도쿄도, 긴자 야마노 악기 본점 이벤트 스페이스 JamSpot)
- 7월 7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6 (도쿄도, Duo Music Exchange - /4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8월 17일: BS아사히+GyaO 프레젠트 SHAKE THE MUSIC LIVE Vol.12 (추첨 250팀 무료 초대/도쿄도, STUDIO COAST/출연: 가와카미 쓰요시와 그의 무드 메이커스, 다케카와 유키히데 feat. 와타나베 가즈미) *[96]
- 9월 22일, 10월 20일, 11월 24일: 먼슬리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Another Side (도쿄도, TOKYO FM홀)
- 12월 17일, 22일, 23일: 스페셜 라이브 2006 Stand Alone Christmas Color (오사카부, 미도 회관 대홀/도쿄도, 구단 회관 대홀/도쿄도, 구단 회관 대홀)
- 2007년
- 3월 21일: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가나가와현, 지가사키 시민문화회관 대홀)
- 4월 14일: 키스기 타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야마가타현, 야마가타 테르사 테르사홀)
- 6월 2일: 키스기 타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야마가타현, 신조 시민문화회관 대홀)
- 3월 24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7 (홋카이도, 생애학습센터 코스모스홀 - /8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9월 19일 - : Acoustic Tracks 2007 (후쿠시마현, 아이즈 풍아당 - /13회 공연)
- 12월 13일, 21일: 스페셜 라이브 2007 Stand Alone Christmas Color (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예술홀/도쿄도, 도쿄 후생연금회관)[97]
- 2008년
- 1월 26일: 어쿠스틱 콘서트 2008 (군마현, 시부카와 시민회관)
- 2월 16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8 (미야기현, Zepp Sendai - /11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5월 31일, 6월 1일: 오구라 케이 트리뷰트 콘서트 유메우타시, 아루토코로니 (도쿄도, 도쿄 국제 포럼/출연: 오구라 케이, 나카무라 마사토시, 호리우치 타카오, 나카니시 야스시, 다카하시 다카시, 에리, September, ESCOLTA, 우메자와 도미오 <31일>, 사다 마사시 <1일>) *
- 8월 4일: 미니 라이브 & 악수회 (도쿄도, 긴자 야마노 악기 본점 이벤트 스페이스 JamSpot)
- 11월 24일: 제17회 지바 생명의 전화 2008년 콘서트 키스기 타카오 어쿠스틱 콘서트 아사이 유메 (지바현, 나라시노 문화홀)
- 12월 20일, 23일: Stand Alone 2008 Christmas Color (오사카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예술홀/도쿄도, 도쿄 후생연금회관)
- 2009년
- 2월 11일 - : 콘서트 투어 2009 여운 (미야기현, 센다이시 청년문화센터 시어터홀 -/8회 공연)
- 2월 22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오키나와 (오키나와현, 오키나와 컨벤션 센터/출연: 가바사와 미노, 가루베 신이치 외) *
- 7월 18일 - : 키스기 타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09 (도쿄도, Duo music exchange - /4회 공연 <크리스마스 공연 제외>)
- 12월 19일, 23일: Stand Alone 2009 Christmas Color (오사카부, 산케이홀 브리제/도쿄도, 도쿄 후생연금회관)
- 2010년
- 4월 24일 - : 기스기 다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10 (지바현・교토쿠 문화 홀 I&I - /9회 공연)
- 12월 5일: Xmas 디너 & 칵테일 쇼
- 12월 22일: 35th Anniversary 스페셜 라이브 2010 Stand Alone Christmas Color
- 2011년
- 1월 29일・30일: 메자마시 클래식 in 아키타 Vol.9 (아키타현・아키타시 문화회관 대홀)
- 2월 11일: 이나자와 사운드 서커스 vol.5 (아이치현・이나자와 시민회관 대홀/출연: 오하시 준코, 오자키 아미)
- 3월 5일 - : 기스기 다카오 35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11 오로지 (사이타마현・사카도시 문화회관 - /9회 공연)
- 7월 1일: 기스기 다카오 35th Anniversary Solo Live Premium Stand Alone 2011 (도쿄도・산토리홀 대홀)
- 7월 24일: 기스기 다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11 (구마모토현・야쓰시로시 가가미 문화센터)
- 9월 3일: 고사카이쿤의 뽐내는 SHOW 26 프리즌 브라더스 (도쿄도・도쿄 글로브좌/출연: 고사카이 가즈키, 마쓰오 반나이, 가와모토 나루(아사리도), 호리구치 후미히로(아사리도) 외)*
- 10월 01일: RYUMEI Birthday LIVE (도쿄도・ROCKER ROOM/출연: RYUMEI, 기타무라 마키, SATO, RYO[모호성 해소 필요] 외)*
- 12월 17일: 기스기 다카오 VOICE PARTY 2011 (야마가타현・이데마치 정민 종합센터 “아~스”)
- 12월 24일・25일: 기스기 다카오 솔로 라이브 Stand Alone 2011 Christmas Color (도쿄도・신주쿠 문화센터 대홀/효고현・고베 국제회관 국제홀)
랭킹
오리콘・작곡 판매량
- 1981년: 제122위
- 1982년: 제2위
- 1983년: 제7위
- 1984년: 제44위
- 1985년: 제96위
- 1986년: 제17위
- 1987년: 제20위
- 1988년: 제48위
- 1989년: 제54위
- 1991년: 제146위
- 1992년: 제250위
- 1993년: 제340위
1982년 오리콘・레코드 판매량
- 종합: 제7위/싱글: 제24위/LP: 제7위/CT: 제6위
1982년 종합 리퀘스트
- 라디오: 꿈의 도중 (제45위)
- 유선: 꿈의 도중 (제18위)/비뚤어진 하트로 (제56위)/실루엣 로망스 (기스기 버전) (제76위)
- 쥬크: 꿈의 도중 (제11위)/비뚤어진 하트로 (제50위)/기분은 역광선 (제89위)
각주
- ^ a b 『아사히 신문』 석간 예능란 (1995년 11월 25일)
- ^ BS-i(BS-TBS) 『KISUGI TAKAO STUDIO CONCERT ~Day by day~』 (2002년 2월 15일)
- ^ a b c 콘서트 (2007년)의 MC
- ^ a b c d e TV 아사히 계열 『테츠코의 방』 (1991년 5월 22일)
- ^ a b c 기스기 에쓰코 저 『꿈의 도중에』 (리크루트 출판/1990년)
- ^ 현: 운난시. 덧붙여 기스키선이라는 JR 서일본의 철도 노선도 존재한다.
- ^ 데와국 (현: 야마가타현)의 국인으로, 다이호지 요시우지, 후에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가신이었던 기스키(기쓰기) 이즈모노카미(기쓰기 우지히데)는 우에스기 겐신을 섬긴 적이 없으며, 또한, 자손은 이후에도 우에스기 씨의 요네자와번사로 무사 계급으로 이어지고 있다.
- ^ a b c RKB 마이니치 방송 『라이브 하자!』 제31회 (2002년 7월 9일)
- ^ a b c NHK 종합의 음악 프로그램 『두 사람의 빅 쇼 기스기 다카오 & 와타나베 마치코』 (1996년 4월 22일)
- ^ a b c d e f g h i 베스트 CD-BOX 『Times Go By』 (2001년 3월) 부속 책자의 대담 “기스기 다카오 × 기스기 에쓰코”
- ^ 『주간문춘』 1991년 5월 16일호 “가는 돈 오는 돈”
- ^ a b 라이브 비디오 (VHS・LD・DVD) 『TAKAO KISUGI LIVE 얕은 꿈에서』
- ^ 기스기 다카오 30주년 기념 인터뷰 avantage 보관됨 2009년 10월 22일, 웨이백 머신.
- ^ a b c d TBS 라디오 『나카무라 마사토시 마이 홈페이지』 (2002년)
- ^ NHK-BS2 『BS 일본의 노래 포크 대집합'99 미나미 고세쓰와 어쿠스틱 프렌즈』 (1999년 1월 31일)
- ^ 콘서트 (2010년)의 MC
- ^ 기스기 에쓰코 저 『이로하니 오토코』 (신초샤/1985년)
- ^ NHK 종합의 음악 프로그램 『영 스튜디오 101』 (1987년 8월 9일)
- ^ 기스기 다카오 토크 세션 제3탄 「기시다 슈」 보관됨 2009년 10월 22일, 웨이백 머신.
- ^ 콘서트의 MC
- ^ a b c TBS 라디오 『고사카이 가즈키의 새터데이 위즈』 (2006년)
- ^ a b c d NHK-BS2 특집 『슈퍼스타 라이브 「일본에서 제일, 우울하고 행복한 하루」 -이노우에 요스이 시크릿 라이브-』 (1999년 12월 10일)/NHK 종합 특집 『이노우에 요스이 secret Live 놀아줄게 오늘만』 (1999년 12월 26일)
- ^ a b c d 『호치 신문』의 예능란 “악우 친우 이렇게 말하는 녹음” (1991년 5월 23일)
- ^ 분카 방송 『포크 트레인』 (2001년 8월 19일)
- ^ a b c d e f NHK 라디오 제1방송 『음악 꿈 클럽』 (1999년 11월 20일)
- ^ 후지 TV 계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웃어도 괜찮아!』의 『텔레폰 쇼킹』 (1984년 3월 27일)
- ^ 키스기 타카오 토크 세션 제1탄 "마작" 보관됨 2009년 2월 10일, 웨이백 머신.
- ^ 키스기 타카오 토크 세션 제2탄 "쇼기" 보관됨 2009년 10월 22일, 웨이백 머신.
- ^ a b 유칸후지 자크자크 『혼잣말』 (2005년 10월 1일)
- ^ 닛폰 방송 『매지컬 뮤직 투어 Countdown2000 1983년 특집』 (2000년 1월 28일)
- ^ 팬클럽 "TAKAO CLUB"의 회보 『égalité』 vol.15
- ^ TOKYO FM 『이모셔널 비트』 (1997년 1월 20일)
- ^ NHK-FM방송 『새터데이 핫 리퀘스트』 (2005년 11월 12일)
- ^ 『25th Anniversary Concert Tour 2000 Dear My Company』의 소책자 (2000년)
- ^ 골든 리트리버 네임 플레이트 DO20 모스 그린 (MOSS Green) 보관됨 2009년 4월 30일, 웨이백 머신.
- ^ 콘서트 (2006년)의 MC
- ^ a b c 콘서트 (2008년)의 MC
- ^ 콘서트 (2003년)의 MC
- ^ 키스기 타카오 스페셜 라이브 2006 Stand Alone ~Christmas Color~ (2006년 12월 23일)
- ^ NHK-FM 『나의 명반 컬렉션』 (2005년 10월 19일 - 23일)
- ^ a b TOKYO FM 『오에 센리의 Live Depot』 Vol.182 (2004년 12월 9일)
- ^ 분카 방송 『카야마 유조 미래에 세일 온』 (2001년)
- ^ a b 길버트 오설리번의 일본반 앨범 『In The Key Of G』 (1990년 4월 13일)의 북클릿
- ^ BS-i (BS-TBS)의 음악 프로그램 『Song To Soul』
- ^ a b 콘서트 (2005년)의 MC
- ^ a b c d e f g h i TV 아사히 계열 음악 프로그램 『Music&Talk 그 곡 그 사람』 제3회 (1996년)
- ^ a b c d 『키스기 타카오 Stand Alone 2019 ~Acoustic Tracks~』 (2019년 4월 14일, 간나이 홀)의 MC
- ^ "야쿠시마루 히로코 『카·이·칸』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타가 히데노리 씨 인터뷰) 잡지 『FLASH』 2013년 8월 20·27일호
- ^ 『요미우리 신문』 연예란 (1992.02.02)
- ^ TV 도쿄 계열 음악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이 시작된다』 (2002년 9월 1일)
- ^ TV 아사히 계열 음악 프로그램 『Music&Talk 그 곡 그 사람』 제1회 (1996년 5월 7일 (26:10~) / 하이비전 방송은 1996년 4월 20일)
- ^ NHK-BShi 『시부야 라이브관 싱 싱 싱』 (2006년 9월 28일) / NHK-BS2 (2006년 10월 5일) ※키스기 타카오와 오하시 준코가 공동 출연한 이 회는, 같은 해 9월 위성 방송 제작 센터장상을 수상했다.
- ^ a b 키스기 에츠코 저 『나의 생활』 (고단샤/1991년)
- ^ a b 팬클럽 "TAKAO CLUB"의 다이제스트 회보 『DECADE』 (1984년)
- ^ a b 『PAUL MAURIAT JAPAN TOUR 1984』의 투어 팸플릿 (1984년)
- ^ FM 아이치 『NDS presents 타카시마 치사코 Gentle Wind』 (2011년 4월 8일)
- ^ 키티 서클 공인 팬클럽 "TAKAO CLUB OSAKA"의 회보 『I Will...』 No.30 (1991년 12월)
- ^ 팬클럽 "TAKAO CLUB"의 회보 『égalité』 vol.21
- ^ 동 콘서트의 MC
- ^ 코사카이 카즈키의 앨범 『20 FAVORITE SONGS』 (2005년 8월 9일)의 북클릿
- ^ a b TBS 라디오 『슈퍼 갱 코사킨 무리하게 100%』
- ^ 『excite musi』 "사랑의 연쇄"를 노래한, 아름다운 발라드곡
- ^ 츤쿠♂ 오피셜 웹사이트
- ^ 도쿠나가 히데아키 오피셜 블로그 블로그에서 혼잣말 (2010년 2월 7일)
- ^ 『여성 자신』 2006년 10월 10일호 "사두면 좋을 NEWSTOCK GARNET CROW (보컬·작곡 담당) 나카무라 유리" (코분샤)
- ^ 『music shelf』 특집 히라이 켄 "데뷔 15년 계속 노래한다는 각오"
- ^ 마츠 타카코 오피셜 웹사이트 마츠 타카코 오피셜 롱 인터뷰 "여행 - 그것은 벚꽃 바람과 함께" 보관됨 2011년 6월 14일, 웨이백 머신.
- ^ 『야가미 준코 서머 콘서트 2000 Puesta der sol』 (효고현·야시로 국제 학습숙 LOC 홀)의 MC
- ^ 사쿠라 프로덕션 모모코의 웹 칼럼 제9회 "키스기 타카오에 대해서" (2005년 2월 18일) 보관됨 2011년 2월 6일, 웨이백 머신.
- ^ 니혼 TV 계열 『사랑의 소란』
- ^ 방송: FM 도쿄 (1977년 8월 17일)
- ^ 방송: NHK-FM (1982년 7월 31일)
- ^ 도쿄도·시부야 공회당의 무대 (1982년 12월)를 영상 작품 『키스기 타카오 라이브 Much more...』 (1983년 4월 21일 발매)에 수록
- ^ 방송: FM 도쿄 『GW 특별 기획 마츠다 세이코 더 콘서트』 (1983년 5월)
- ^ 12월 2일 스테이지를 영상 작품 『LABYRINTH TAKAO KISUGI with PAUL MAURIAT』(1985년 3월 21일 발매)에 수록
- ^ 베스트 앨범 『The Best of TAKAO KISUGI 꿈의 도중에…』에 "Goodbye Day", "꿈의 도중"을 수록
- ^ 방송: TBS 계열 (1985년 8월 24일)
- ^ 방송: FM도쿄 『사운드 카고』 (1985년 11월 24일)
- ^ 방송: TBS 라디오 (1986년 10월 18일)
- ^ 방송: NHK 종합 『오구라 케이 콘서트』 (1987년 7월 22일)
- ^ 방송: NHK 종합 『나가사키·8월·사다 마사시 콘서트』 (1987년 8월 29일)
- ^ 9월 12일 (도쿄도·쇼와여자대학교 히토미 기념 강당 스테이지)를 영상 작품 『TAKAO KISUGI THE VIDEO Something Else』(1989년 12월 3일 발매)에 수록
방송: 10월 12일 (아이치현·아이치 후생연금회관) 스테이지 (주쿄TV 『얕은 꿈 키스기 타카오 월드』 1988년 11월 19일)
- ^ 방송: NHK-BS2 『레이트 쇼 나이트 키스기 타카오』 (1990년 1월 29일)
- ^ 방송: (도카이TV 『호텔 도바 코요엔 스페셜 머메이드 드림 키스기 타카오』 <1990년 4월 28일>)
- ^ 방송: WOWOW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영원한 순간』 (1991년 8월 12일) / 12월 25일 스테이지를 영상 작품 『키스기 타카오 CONCERT TOUR ~영원한 순간~』(1991년 5월 23일 발매)에 수록
- ^ 방송: 방송국 불명 『NEC URBAN SOUNDS LIVE SPECIAL』 (방송 연월일 불명)
- ^ 방송: NHK-BS2 『제9회 비와호 물 축제』 (1991년 8월 12일) · NHK 종합 『비와호 물 축제 SAVE The LAKE '91』 (1991년 8월 25일)
- ^ 7월 24일 스테이지를 영상 작품 『TAKAO KISUGI ACOUSTIC TRACKS』(1993년 9월 24일 발매)에 수록
- ^ 방송: 1994년 3월 3일 (가나가와현·요코스카 예술극장) 스테이지 (TV 가나가와 <1994년>)
- ^ 방송: WOWOW 『키스기 타카오 콘서트 The 20th Anniversary』 (방송일 불명) / 영상 작품 『TAKAO KISUGI LIVE 얕은 꿈에서』(1995년 10월 25일 발매)에 수록
- ^ 방송: NHK-BS2 『슈퍼스타 라이브 "일본에서 제일, 우울하고 행복한 하루" - 이노우에 요스이 시크릿 라이브 -』 (1999년 12월 10일) · NHK 종합 『이노우에 요스이 secret Live 놀아줄게 오늘만』 (1999년 12월 26일)
- ^ 방송: 스카이퍼펙TV 『라이브 그래피티 키스기 타카오 스페셜 콘서트』 (2000년 2월 27일)
- ^ 방송: TV 아사히 계열 『2000 일본해 석양 콘서트』 (2000년 9월 28일)
- ^ 방송: 스카이퍼펙TV 『키스기 타카오 라이브 TAKAO KISUGI CONCERT Twilight Glow』 (2001년 11월 3일)
- ^ 12월 26일 스테이지를 영상 작품 『TAKAO KISUGI 30th Anniversary X'mas Concert 2005 avantage』(2006년 발매) / 기획 앨범 『Try to remember』 (2008년 6월 25일 발매)에 수록
- ^ 방송: BS아사히 (2006년 9월 2일, 23일, 30일) · GyaO (2006년 9월 10일 - 10월 8일)
- ^ 12월 21일 스테이지를 기획 앨범 『Try to remember』 (2008년 6월 25일 발매)에 수록
관련 항목
외부 링크